1인 가구에 대해 김수미 목포시 의원은 독신과 다른 개념이라고 정의했다. 

김수미 의원은 "가치관의 변화와 더불어 가구의 유형이 다양화 됐다. 1인 가구의 증가는 이런 가족구조의 변화이지만 그 내면에는 소득증가, 교육수준 향상, 여성고용 확대 등 경제적 요인과 정보화 사회, 개인주의 확대, 초혼연령 상승의 문화적 요인, 고령화심화, 남녀평균수명의 차이등 사회적 요인 등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면서 "1인 가구는 독신과 구별되며, 형성요인에 따라 자발적 1인 가구와 비자발적 1인 가구로 구분된다. 1인 가구의 경우 자발적 사유보다는 사회 경제적 환경에 의한 비자발적 1인 가구들이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로 박사 논문을 쓴 그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의 경우 가족을 이루지 않고 있고 자녀라는 부양세대가 없는 상황에서 노후에 대한 큰 리스크를 가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가정을 이루지 않은 1인 가구 형태 일 경우 중년에 들어서면서 느끼는 고립감과 노후에 대한 불안감은 더 커질 것이며 이로 인해 더욱 더 위축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연령별대로 차별화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가족이 수행해왔던 역할을 지역 커뮤니티가 분담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으로 1인 가구가 정서적인 안정을 이룰 수 있도록 강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1인 가구의 경우 노후에 대해 나빠질 것으로 전망할수록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노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 있도록 저소득, 고령자 , 청장년 1인 가구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과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1인 가구가 동일한 인구계층이 아니며 그 내부 다양성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혼자 사는 시간이 길수록 직업과 소득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사회로부터 격리되었다는 불안감이 감중될 것이므로 저소득층의 경제불안상태의 고립된 1인 가구에 대한 장기적인 정책방향을 수립함으로써 사회비용이 늘어나는 위험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여 강조했다. 

목포시의 경우 235,423명의 인구 중 독거노인이 11,357명으로 4.1%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청년 1인가구 중장년 1인가구의 경우는 실태조사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게 김 의원 측 설명이다. 

이에 따라 목포시는 1인 가구 정책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우선 독거노인에 대한 목포시의 정책으로는 '고독사지킴이단 돌봄대상 안부살피기', '홀로 사는 노인 안부살피기','IOT 활용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등을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방문건강 관리지원 조례를 통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방문 간호사가 가정을 방문 건강문제 스크리닝, 건강관리서비스 등 보건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김 의원은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방문간호사의 방문으로 삶의 질 향상과 생활안정에 기여하게 되고 특히 저소득층의 1인 가구의 경우 고독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건강에 대한 관리가 절실한 부분이었다"면서 "대상자 중에는 1인 가구에 대한 부분을 명시하여 방문건강관리를 체계적인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김 의원은 1인 가구들이 안고 있는 경제적, 건강, 정서적인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김 의원은 "1인 가구에 대한 고독사 정책과 1인 가구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통해 1인 가구의 노후준비에 관계된 교육프로그램, 여가프로그램, 소셜 다이닝 등 사회적 관계형성을 위한 주민 모임, 반찬 및 건강음료 제공사업, 정보통신 기술을 통한 사용자 행동인식기술등을 활용한 안부확인 서비스 지원이 되도록 노력 할 것이다"라며 "여성 1인 가구들이 안심할 수 있는 여성안심귀가를 위한 CCTV 확대, 안심거울, 안심가로등, 안심 비상벨, 안심택배보관함 등을 통한 여성이 안심하는 목포시를 만들고 싶다"고 의지를 내비쳤다. 

이어 그는 "여성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끊임없는 문제제기를 할 것이다. 여성폭력방지기본법 등을 토대로 여성폭력방지정책의 종합적 .체계적 추진을 할수 있도록 할 것이며 실제적 폭력과 더불어 2차피해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 법률지원, 재정 지원 그리고 2차피해를 아무렇지 않게 하는 2차 피해 가해자들에 대한 좀더 강력한 규정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