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서울서부지법에서 진행된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소재 대지면적 46㎡ 단독주택이 1회 경매 입찰에 12억1389만2000원 매각됐다. 감정가(6억688만6000원)의 2배를 넘는 액수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누구라도 탐낼 수밖에 없는 물건"이라고 평가했다. 

주택의 위치가 지하철4·6호선 삼각지역 도보 3분 거리에 있고, 신용산역 북측 1구역 재개발 사업에 묶여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정부가 용산 정비창 부지에 아파트 8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개발호재' 발표와 동시에 신용산역 북측 1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면서 '희소성'이 높아졌다. 

정부는 용산 개발 계획이 인근 부동산 가격을 끌어올릴 것을 우려해 서둘러 용산 일대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 13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결국 1980년대에 지어져 40년 가까이 흐른 구옥의 몸값을 12억원으로 끌어올린 것은 정부다. 

문재인 정부 출범 4년차, 그동안 집값은 무려 40% 가까이 올랐다. 서울의 경우 3억원대 아파트가 6억~7억원을 호가한다. 각종 개발호재에 서울 부동산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가 더해지면서 부천, 광명, 수원 등 서울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 일대도 집값이 치솟았다. 

한 부동산 전문가에게 집값이 오른 이유를 물었다. 

그는 "집값 상승 요인을 제공했으니 오르는 것"이라며 "GTX를 비롯한 광역교통망에 3기 신도시 공급 등 대규모 수도권 개발, 섣부른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 등이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분석이다. 그만큼 상승요인이 눈에 보인다는 의미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는 남은 임기 동안 벌려놓은 개발사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집값은 개발호재 발표, 착공, 준공 시점에서 주로 오른다. 수도권 곳곳에서 집값 상승 요인이 남아있는 셈이다. 

즉 현 정부 출범 이전으로 집값이 하락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정부도 집값을 낮추는 데 의미를 두지 않고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다른 부분에서 의미를 찾을 가능성이 높다. 

평범한 회사원이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는 일은 이제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닐까.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