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될 우려가 커짐에 따라 기업들도 감염예방에 심혈을 기울이는 분위기다.서울 중구 을지로 SK텔레콤 본사./ 사진=뉴스1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될 우려가 커짐에 따라 기업들도 감염예방에 심혈을 기울이는 분위기다.서울 중구 을지로 SK텔레콤 본사./ 사진=뉴스1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될 우려가 커짐에 따라 기업들도 감염예방에 심혈을 기울이는 분위기다.

정부는 19일 0시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해 시행에 들어갔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서는 실내 50인 이상, 실외 100인 이상이 대면으로 모이는 모든 집합, 모임, 행사는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방역조치가 2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민간 기업들의 경우 유연·재택근무 등을 통해 근무인원을 절반으로 제한하는 등의 권고조치가 내려졌지만, 대기업과 일부 IT기업만 집단감염예방조치 차원에서 재택근무에 돌입하고 나선 모양새다. 

기업마다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재택근무가 한창이지만 혼자사는 1인 가구는 이마저도 '그림에 떡'이라는 목소리가 새어 나온다. 

서울시 직장인 박모(43세)씨는 7년째 혼자 살고 있다. 박씨는 한달 벌어 임대료와 공과금을 납부하고 남은 금액으로 생활한다. 코로나19로 이마저 여의치 않게됐다. 

박씨는 "나라에서는 코로나19로 재택근무하라고 난리인데 한 달 벌어서 근근이 사는 1인 가구에게 재택근무는 그림에 떡"라며 "사무실에 재택근무한다고 하면 그나마 있던 일자리도 잃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5월 26일 국토연구원에서 내놓은 '1인 가구 주거불안 양상과 주거정책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1인 가구의 위험성과 취약성은 더욱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미선 국토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자가격리 명령 조치의 영향으로 주거여건 열악 가구의 불평등 문제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점유 형태와 직업군이 동시에 불안한 중첩위기가구의 양상이 드러난다는 게 박 연구원 주장이다. 

그는 1인 가구 중 직업적으로도 안정성이 낮은 불안정 직업군이면서 보증부 월세이거나 보증금이 없는 순수 월세 거주자는 총 132만 가구를 초과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또 갑작스런 소득 감소로 월세를 지불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경우 당장 임대료 체납 위기에 놓이는 긴급 위기가구는 25만6000가구로 파악했다.

박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는 1인 가구에 대한 임대료와 공과금 체납가구에 대한 유예조치로부터 임대료 동결까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사각지대에 놓인 1인 가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박민선 숲과나눔 1인 가구 전문 연구원은 "혼자 사는 1인 가구일수록 코로나19에 취약 할 수 있다"면서 "임대료 동결 및 납부 유예, 모기지 원리금 납부 유예 조치, 임대료 연체에 따른 퇴거 금지,공과금 납부 유예 및 기본 서비스 지속 공급, 연체가구의 추적과 주거지원 타겟팅, 긴급 임대료 지원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국토연구원
사진=국토연구원 저자 작성.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