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6명 일자리 못구해
정부,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사업 내년에 1조2000억원 배정

사진 = 뉴스1
사진 = 뉴스1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페이스북에 "청년층 일자리 회복이 더딘 것은 늘 마음 아픈 부분"이라며 10월 고용동향에 대해 평가했다. 

청년 취업난이 심각해서다. 청년 10명 중 6명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암울한 시기다. 지난달 고용률은 42.3%. 전년 동월 대비 2.0% 포인트나 하락했다. 

여기에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으로 자영업자들이 긴축경영에 나서면서 단기 계약직(아르바이트)마저 줄고 있다. 저소득 청년 1인 가구에는 올겨울이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정부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떨어지는 고용률을 보고도 아쉽다는 반응이 끝이다. 그간 투입한 일자리 관련 예산이 성과를 보여야 하는데 오히려 고용률은 떨어지고 있어서다. 

일단 정부는 내년 대규모 일자리 예산을 투입해 취업난 해소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청년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최근 한 출판사에 취업한 정 모(32)씨는 "지난해까지 정부 지원 사업체에서 일하다가 그만두고 알바를 전전한 끝에 간신히 출판사에 취업했다"며 "정부 지원금으로 교육을 받고 취업한 기업은 정말 영세했다. 다시 돌아오지 않을 젊은 시절을 이력서에 한 줄 넣기도 힘든 곳에서 보내버리기에는 너무 암담하고 불안했다. 지금 방식의 일자리 지원이 내년에도 이어진다면 달라질 것은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내년 졸업을 앞둔 이 모(27)씨는 "졸업 후에 뭘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며 "정부가 내년에 일자리를 대거 늘린다는데 문과생은 갈 곳이 없다. 알바 구하기도 힘들어 집에서 항상 도보배달앱을 켜놓고 알림 뜨면 바로 튀어 나간다. 이게 현실이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대표적인 청년 일자리 사업인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는 지난해 기준 전체 참여자 3만6265명 중 6933명(19.1%)이 직장을 중도 포기했다. 이는 일반직 기업 이직률보다 2~3배 높은 수준이다.

청년들의 이탈 이유는 간단하다. 대부분 영세 사업장이고, 일반 서무나 생산 업무에 투입돼 업무 만족도가 크게 떨어져서다. 미래를 그리고 안정된 삶을 꾸려나갈 수 있는 직장이 아닌 당장 취업이 어려워 먹고살기 힘들어 선택한 직장이니 못 버티고 나가는 것이다. 

행안부와 지자체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취·창업을 희망하는 총 7만명 이상의 청년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렇다 보니 현재 정부 정책에 대한 청년층 만족도는 낮기만 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19~34세 청년 773명을 대상으로 정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직 및 창업 지원 정책 만족도는 6.5점에 그쳤다. 

이에 전문가들은 고용지원 형태의 정책보다는 지속 가능하고 발전 가능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고용지원금이 아닌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라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첨단 산업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 역시 현재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는 청년층이 해당 분야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당장 고용불안을 해소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있다.  

한편 정부는 고용시장 안정을 위해 내년 일자리 예산 30조6000억원을 투입, 2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유지·창출할 계획이다. 이 중 103만개는 직접일자리 사업으로 97만개는 고용유지 및 민간 일자리에서 만들 예정이다. 

청년 일자리로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디지털일자리사업(4700억원)이 편성했다.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사업은 내년에 1조2000억원을 배정했다. 

대구 달서구청 일자리지원센터에서 한 청년이 취업정보를 확인하는 모습./사진=뉴스1
대구 달서구청 일자리지원센터에서 한 청년이 취업정보를 확인하는 모습./사진=뉴스1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