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거복지 로드맵에 중장년 '없다'
사회적 관계망 회복 지원 요구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 = 뉴스1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 = 뉴스1
우리나라의 신중년(50·60세대) 인구는 약 1500만명으로 인구의 29%를 차지한다. 평균 은퇴연령이 50대인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상 중년층은 사회 일선에서 내려와 은퇴자의 삶을 살아간다. 그러나 100세시대를 맞은 요즘 중년층은 '인생 2막'을 열며, 자기 자신을 가꾸고 앞으로 살아갈 인생을 더 행복하게 살기 위해 노력한다. 특히 중장년 1인 가구가 늘면서 이러한 성향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반대로 갑작스럽게 1인 가구의 삶을 살게 되면서 사회적 단절과 자존감 하락 등으로 정서적으로 위기에 놓이는 중장년층 역시 늘고 있다. 노후 준비 없이 일자리를 잃으면서 '소득절벽'을 겪고 생계마저 위협받는 경우다. 신중년이란 빛나는 삶의 이면에는 사회·복지정책의 사각지대에서 위태로운 삶을 살아가는 중년의 삶 역시 존재한다. 이에 [1코노미뉴스]는 100세시대를 살아가는 신중년 1인 가구의 빛과 그림자를 기획시리즈로 다루고자 한다. -편집자 주 

고도성장기를 거치며 안정적 소득을 기반으로 자산을 축적한 베이비붐세대. 이들이 장년에 들어서면서 경제력을 기반으로 경제·사회·문화 다방면에서 인생 2모작을 이어가는 신중년이 탄생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갑작스러운 은퇴와 이혼, 부실한 노후대책으로 인한 '소득절벽' 등으로 '위기'에 놓인 중장년 1인 가구가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50대 인구는 836만명, 60대는 605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50~60대는 총 1441만5000명으로 전체 인구(5000만명)의 28.83%를 차지한다. 

직장인 평균 퇴직 연령이 50.5세(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기준)인 점과 현재 50대의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을 감안하면 50~64세 1196만5000명이 '소득절벽'에 놓여있는 셈이다.

특히 혼자 사는 신중년이 재취업에 실패한 경우 경제적으로 더 위험하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50~64세 1인 가구는 40만 가구에 달한다. 

결국 노후준비자금을 소비하면서 중장년층의 경제난이 고령층으로 이어지면 향후 노인빈곤 문제가 확대될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신중년 세대를 타깃으로 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정부의 주거복지 로드맵에 중장년은 해당 사항이 없다. 심각한 저소득층으로 생계 위기에 놓이지 않는 이상 아무런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또 중장년 1인 가구는 정서적으로도 청년, 노인보다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갑작스러운 은퇴와 재취업 실패는 이들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사회적 관계망이 끊어지면서 발생하는 고독감이 불안·우울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신중년 세대의 성공사례를 보며 받는 상대적 박탈감 역시 크다. 

실제로 한 1인 가구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최근 고독사한 동호회 회원의 부고 소식이 올라와 있었다. 해당 커뮤니티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던 고인의 죽음이 알려지자 회원들은 안타까운 심경과 함께 현재 비슷한 감정을 겪고 있음을 전해왔다. 

한 회원은 "웃으며 셀카를 찍고, 혼자지만 외롭지 않다는 듯 글을 올리지만, 불현듯 찾아오는 외로움이 주는 고통이 너무 크다"며 "웃는 게 웃는 게 아닌 현실, 살아갈 날들이 두렵기도 하다"고 말했다. 

신중년 세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성공적인 재취업 지원과 사회 관계망 단절을 막기 위한 돌봄 서비스가 꼽힌다. 경력과 무관한 단순한 일자리, 일회성에 그치는 생계형 일자리가 아닌 전문성을 살리면서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일자리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외로움·고립 극복을 위한 중장년 전용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등 사회적 관계망 회복을 위한 지원, 무료 건강검진 등 복지 서비스도 요구된다.   

한 서울시 1인가구지원센터 관계자는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책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아직까지 걸음마 수준"이라며 "그나마 청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은 기존의 복지 정책과 맞물리면서 가동이 되고 있지만, '사각지대'에 있는 중장년층을 위한 대책은 없다. 중장년 1인 가구는 이혼·사별 등 비자발적으로 혼자가 된 경우가 많아 이들을 위한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사진=뉴스1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 = 뉴스1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