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자료사진.

취업난 장기화에 정부와 지자체가 청년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해 기준 지방자치단체가 운용 중인 청년 정책은 2691개에 달한다. 중앙정부 정책도 239개나 된다. 

대부분 경제적인 부분을 지원하는 정책이기에 청년이라면 거주지별 2021년도 청년 정책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의 경우 오는 3월 3일까지만 '서울시 청년수당' 지원 대상을 모집한다. 선정인원은 2만명 내외다. 매월 50만원을 최소 3개월에서 최대 6개월까지 지원한다. 서울에 거주하는 미취업 청년의 구직활동 지원을 위한 수당으로 만 19~34세 서울에 거주하는 졸업 후 2년이 넘은 사람(중·고교, 대학·대학원)이면 신청할 수 있다. 

단 중위소득 150% 초과 가구 청년, 중위소득 50% 이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2021년 최저임금 이상 소득이 있는 창업자, 3개월 초과 주26시간 초과 고용보험 가입한 취업자, 조업 2년 이내인 사람(대학 재학생·휴학생 포함) 등은 신청할 수 없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사업도 내달 3월 3일부터 12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만 19~39세 청년 1인 가구(서울 거주자), 5000명에게 월 20만원씩 최장 10개월간 월세를 지원한다.

경기도는 청년기본수당 신청자를 모집한다. 오는 3월2일부터 26일까지 1분기 모집을 진행한다. 경기도 내 만 24세 청년으로서 3년 이상 계속 거주한 경우 또는 합산해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신청일 기준) 지원할 수 있다. 경기도는 1인 당 분기별 25만원, 연간 최대 1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남양주시는 청년취업지원프로그램 '2021 청년 취업성공 프로젝트 1기'를 모집한다. 내달 15일부터 25일까지 관내 만 19~34세 청년구직자 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수료자에게 참여수당 20만원과 취업성공 시 수당 1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한다. 

이외에도 지자체별로 유사한 정책이 있으니 거주지에 맞춰 확인은 필수다. 

청년 정책은 규모가 작아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하다. 대신 정책 수혜자의 만족도는 상당히 높다. 경기연구원이 청년기본소득 정책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급자의 경우 행복함 정도가 비수급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지어 개인의 건강상태, 미래에 대한 희망, 법·제도에 대한 인식까지 변화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경기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젊은 청년들의 삶이 친구를 마음 편히 사귈 수 없을 만큼 그리 크지 않은 금액조차도 금전적 제약으로 작용해 왔으며, 자신의 미래를 위해 학습 등 자기계발을 하는 데 청년기본소득이 유용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국내 청년 1인 가구(만 29세 이하)는 2019년 기준 117만7000명이다. 1인 가구 전체의 약 20%를 차지한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