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물부족 사태 심각 대책 마련 시급

안지호 기자 

강원도 시골집으로 향하는 길, 익숙한 흙냄새가 코끝을 간지럽힌다. 냄새뿐만 아니라 먼 자락 산 넘어 나무 한 그루까지도 익숙한 시선이다. 

모든 게 포근하고 정다운 나의 고향이지만 딱 한가지 변화가 내내 마음에 걸린다. 

친구들과 도랑치고 가재 잡던 개울물이 형체도 없이 사라졌다. 

몇 년 전부터 그나마 있던 물도 말라 모양도 제각각인 돌들만 가득하다. 동강 물도 반 이상 줄었다. 

2030년이 되면 강원 18개 시군 중 13개 시군에서 물부족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 걸 보면 사태가 심각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지난달 4일 강원도 수자원 현황조사에 따르면 과거 최대 가뭄 적용 시 2030년 기준으로 물 부족량은 6천230만t에 달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는 1천690만t, 농업용수는 4천540만t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원주와 강릉, 속초, 삼척, 인제 고성 등 6개 시군은 생활용수와 공업용수가 부족할 거란 소리다.

또 철원과 원주, 강릉, 삼척, 홍천, 횡성, 영월, 평창, 양구, 인제, 고성, 양양 등 12개 시군은 농업용수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춘천과 동해, 태백, 정선, 화천 등 5개 시군을 제외한 도내 대부분 지역에서 물부족이 예상된다는 경고인 셈이다.

이런 물부족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처음으로 '지역수자원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물부족 등 물 재해에 대비한 대응책을 마련에 힘쓰겠다고 했다. 

또한 지하수 저류지 개발, 식수 전용댐 건설, 해수 담수화 도입, 소규모 다용도 저수지 등의 대책 마련을 내놨다. 

하지만 이같은 대책 마련으로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역수자원 관리계획을 통해 기후변화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뭄과 홍수 등 근본적인 물 문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무엇보다 수도시설 전환을 강조했다. 

강원발전연구원 한 연구위원은 "댐 및 저수지의 수량관리와 물부족 지역을 중심으로 물절약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 또 미급수지역을 중심으로 물부족 예상지역의 파악과 함께 사전에 물을 비축하는 방안이 요구된다"라며 "강원도 내 수도시설 전환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2일은 세계 물의 날이다. 강원도민이 물부족에서 허덕이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대비를 해야 한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