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디자인=안지호 기자

50대 이상 중장년 1인 가구를 위한 대책 마련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생애주기별 1인 가구 대책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일자리 공급, 홀로서기 심리상담 및 교육 등 지원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0년 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 중 중장년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34.4%나 된다. 이들은 이혼 또는 별거, 사별, 미혼 등의 사유로 1인 가구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또 가족해체를 경험한 중장년 1인 가구는 앞으로도 혼자 살아갈 가능성이 높은 '지속적 1인 가구'로 분류된다. 실제로 여가부 조사에서도 '향후 혼자 살 계획 여부'를 묻는 질문에 50대는 73.0%, 60대는 86.9%가 '그렇다'고 답했다. 

학업·취업을 목적으로 혼자 살게 된 일시적인 경우가 많은 청년 1인 가구와 확연히 다른 성향을 보였다. 청년은 향후 혼자 살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20대 55.2%, 30대 45.8%)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에 중장년 1인 가구는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50대는 49.3%, 60대는 54.2%가 '1인 가구에 대한 지원'을 요구했다. 대체적으로 사회적 관계망이 옅어지면서 '외로움'을 호소했다. 

실제로 중장년 1인 가구의 고독사가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영인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무연고 시신 처리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무연고 사망자는 2880명이었다. 이 중 50~59세가 21.6%, 50~64세 17.3%, 40~49세 8.9%로 중장년층 무연고 사망자가 전체의 47.8%에 달했다.

노후 준비도 허술하다. 중장년 1인 가구는 국민연금 납부율 63.2%, 퇴직연금 가입률 7.6%, 개인연금 가입률은 10.5%를 보이고 있다. 다인 가구보다 노후에 대한 대비에서 부족한 모습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중장년 1인 가구 정책으로 '일자리'를 내세우고 있다. 경제적 빈곤을 방지하면서 사회관계망 단절을 방지할 수 있어서다. 정부는 올해 추경으로 중장년에겐 방역·안전(6만4000명), 그린·환경(2만9000명) 일자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여성가족부의 경우 중장년 1인 가구에 홀로서기 심리상담·교육, 자기 돌봄·일상 관리 교육, 생애후반기 준비 교육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표 = 여성가족부
2020 가족실태조사 1인 가구 특성./표 = 여성가족부

서울시는 50플러스재단을 통해 적극적인 중장년 일자리 공급 정책을 펼치고 있다. 현재 지역상생인턴십, 보람일자리사업, 스마트 간병인 매칭사업, 반려견 돌봄 전문가 사업, 마음 건강 교육, 은퇴 후 자산관리 등 온라인 강좌, 취업트렌드 세미나 강좌 등을 운영, 참여자를 모집 중이다. 

경기도는 지자체 최초로 '경기 중장년 행복캠퍼스'를 설치하고 종합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해 중장년 1인 가구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 중장년이 기존 경력을 활용해 재취업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지원하고 사회적 교류를 이어갈 수 있도록 '중장년 수다살롱'을 운영한다. 도는 이를 위한 예산으로 4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부산시도 최근 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신중년 지원에 힘을 쏟기로 했다. 먼저 일자리 허브를 구축해 체계적인 중장년 일자리 지원에 나선다. 올해 시 추경 예산 20억원을 확보해 신중년 700명의 일자리를 추가 제공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100억원의 재정지원 사업으로 1800명의 일자지를 만들 계획이다. 

박진옥 나눔과나눔 사무국장은 "1인 가구가 증가하고, 다양한 생애과정 속 문제로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며 "복지 사각지대인 중장년이 그렇다. 사회적 고립가구 문제는 생애사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지원 네트워크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 참가한 시민./사진=뉴스1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 참가한 시민./사진=뉴스1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