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현호 기자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장기화하자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병상 부족이 우려된다며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자가치료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경기도에서는 50세 미만 1인 가구 중 독립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경우 자가치료를 허용했다. 

이를 바라본 서울, 제주도 등도 자가치료 허용 범위를 확대하려 한다. 경기도에서는 이미 1000명 이상의 인원이 자가치료를 받았다. 지난 25일에도 성인 1인 가구 13명 등이 자가치료자로 결정됐다. 

현재 자가치료는 위험도를 고려해 무증상·경증이면서 소아 고위험군이 아닌 만 12세 이하 아동 확진자나 돌봄이 필요한 자녀가 있는 성인 확진자에게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여기에 경기도는 만 50세 이하 1인 가구를 포함했다.

자가치료가 결정된 성인 1인 가구의 경우 무증상이나 증상이 약해 입원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자다. 이들은 의료진이 매일 연락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자가치료를 한다. 

코로나19는 강력한 전염성과 확진 시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란 점을 잊어선 안 된다. 국내에서는 치사율이 낮다 보니, 두려움이 많이 낮아졌지만, 최근 인도 사태를 보듯이 코로나19는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무서운 질병에 걸린 환자를 혼자 산다는 이유로 자가치료 대상으로 정하는 것이 공정한가 의문이 든다. 

경기도는 전담팀이 하루 '두 번' 연락을 취하고 이상이 있으면 즉각 호송할 준비가 되어 있어 문제가 없다는 식이다. 하지만 멀쩡했던 환자가 갑자기 증상이 나빠진다면, 야간에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누군가에게 도움을 취하지 못할 정도로 상황이 급격히 악화하면, 즉각 대응이 가능할까. 홀로 원룸에 갇혀 병마와 싸우며 받는 심적 고통은 외면해도 될까. 

최근 코로나19 확진 후 치료를 받고 사회로 복귀한 A씨는 "생활치료센터에서는 치료행위가 없다. 격리 후 타이레놀, 항생제, 기침약만 처방해준다. 처음에 엑스레이상 이상이 없으니 고통을 계속 호소해도 약만 줬다"며 "갈수록 기침도 심해지고 귀까지 아파지는데 참아야 했다. 무려 5일 만에야 병원으로 옮겨줘 CT를 찍으니 기관지에 염증이 발견됐다"고 토로했다. 

A씨의 사례를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자가치료 중인 1인 가구가 같은 상황을 겪는다면 A씨보다 빠르게 진료를 볼 수 있을까 생각이 든다. 

코로나19 확산세에 정부와 지자체가 생활치료센터 병상 수 부족을 우려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에 대한 답을 특정 집단에 전가하는 형태로 찾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닐까. 국민의 목숨과 생활치료센터 추가 확보 무엇이 중한가.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