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사진=서울시
자료사진./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오는 21일 치매 극복의 날을 맞이해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전국 최초로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은 치매전담실 내의 공용공간, 개인공간, 옥외공간 등 시설 느낌을 최소화하고, 모든 공간을 집과 비슷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 어르신들 간 즐겁고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도록 공용공간을 최대한 활용함과 동시에 개인화 보장으로 자존감을 향상하고자 했다.

일례로 어르신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동거실은 누구나 접근이 쉽도록 치매전담실 중앙에 배치했다. 아울러 간이 주방을 마련해 식사 시간마다 밥 짓는 냄새로 시간의 흐름을 인지하고, 후각 등 감각을 자극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했다.

어르신들이 생활하는 생활실에는 어르신들의 이름과 사진이 붙어있고, 생활실 손잡이 색깔을 모두 달리해 어르신이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했다. 1인실인 가족실은 멀리 사는 가족이 면회 왔을 때를 대비해 하룻밤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했다.

이 밖에도 치매 어르신들의 정보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정보 디자인을 제안했다. 어르신의 침대나 생활실 문패 등에 어르신이 앓고 있는 질병 상황(당뇨, 뇌졸중, 치매 고위험 등)을 색으로 구분한 '응급상황 대응표식'을 부착해 대응자가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은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와 시립서부노인요양센터에 적용, 지난달 중순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시는 향후 건립 예정인 시립실버케어센터와 기존 노인요양시설을 치매전담형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적용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어르신들의 생활 환경공간의 중요성을 널리 공유하고자 한다"며 "서울시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소리를 들어 개발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적용해 공공요양 분야에서 선도적인 사례를 만들어나가고, 민간 확산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치매는 노인들 사이에서 암보다 두려운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는 2017년부터 시행된 '치매국가책임제' 이후 노인요양시설에 '치매전담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0년 65세 이상 노인 중 추정 치매 환자 수는 84만 명이다. 그중 유병률은 10.3%이다. 센터는 2025년엔 노인 치매 환자가 107만명, 2050년에는 302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