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유리나 기자 

정부가 장기적으로 인구 유입 효과를 꾀하기 위해 전국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추진중인 '귀농귀촌살아보기' 사업이 한창이다. 전국 88개 시·군 104개 마을 가운데 도내에서는 13개 시·군 15개 마을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시·군별로 귀농·귀촌 프로그램을 구성해 지난 4월부터 타 시·도 거주자를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했다. 조기 마감될 정도로 인기는 뜨거웠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농촌 인구 감소와 함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어 소멸위기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이유가 뭘까. 

29일 호남 통계청 자료 조사에 따르면 전남 고흥, 보성, 장흥 등이 속한 득량만권 지자체 인구감소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득량만권 지자체 중 2020년 고흥군의 농가인구는 1만9천명으로 2000년(4만3천명)과 비교해 20년간 2만4천명(-55.0%) 감소했다.

보성군의 2020년 농가인구는 1만1천명으로 2000년(2만7천명) 대비 60.4%로 가장 크게 줄었다. 장흥군은 1만1천명으로 2000년(2만5천명) 대비 54.2% 감소했다. 고흥군 작년 청년인구는 7천명으로 2000년(2만3천명)대비 72.0% 감소했고, 보성군은 5천명으로 2000년(1만4천명) 대비 68.0% 감소했다. 장흥군도 5천명에 머물며 2000년(1만3천명)대비 61.5% 감소했다.

반면, 고령인구는 3개군 모두 크게 늘었다. 고령인구가 늘었다는 얘기는 그만큼 일손이 모자르다는 소리와도 같다. 장흥군 고령인구는 1만9천명으로 20년전(1만1천명) 대비 68.5% 증가했고, 고흥군도 3만8천명으로 2000년(2만3천명) 대비 65.9% 늘어났다. 보성군 역시 2만3천명으로 2000년(1만4천명)보다 63.4%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율도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율의 절반 이상은 독거노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흥군 1인 가구 비율은 40.0%, 독거노인 가구 비율은 25.6%였다. 보성군 1인 가구는 38.2%, 독거노인 가구 비율은 24.0%였으며. 장흥군 1인 가구 비율은 38.2%, 독거노인 비율은 22.2%로 조사됐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이곳에서 농촌의 젊은이는 20~30대가 아닌 60대다. 그마저도 줄어들어 15~64세 생산가능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65세 이상) 인구는 고흥의 경우 올해 81명에서 2037년 144명으로 63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득량만권 장래 노년부양비와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보성군은 올해 74명에서 2037년 128명으로 54명, 장흥군은 올해 64명에서 2037면 103명으로 39명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같은 농촌의 현실은 10년내 급격한 농촌의 붕괴를 불러올수도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농촌의 상당수 소규모 마을인 자연부락의 경우 존폐의 위기에 처해있는데다 갈수록 감소하는 인구 유입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농촌지역이 연쇄적으로 붕괴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10년 이내 사멸하는 지역이 속출 할 수 밖에 없다는 소리다. 

사실 농촌 고령화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농촌을 바라보는 사고전환과 대폭적인 지원이 없는 한 우리 농촌의 미래는 어둡다. 

일부 지자체가 내놓은 정책은 은퇴자들을 위한 프로젝트로 이뤄져 있다. 젊은층에서 농촌으로 돌아와 농사 이외에도 다양한 아이템으로 창업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돼야 한다. 

과거 같은 지원정책 만으로 죽어가는 농촌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다. 각 지자체에서 내놓는 아이템과 함께 중앙정부가 농업에 대한 마인드를 먼저 바꾸고 지금부터 훨씬 획기적이고 과감한 정책을 추진해야만 농촌의 미래가 밝아질 수 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