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화면 캡처>

[일코노미뉴스=노대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대북특사 파견을 공식화함에 따라 '특사'와 '파견 시기'가 화두로 떠올랐다.

문 대통령은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가지며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시 논의했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북한 김여정 특사의 답방형식으로 대북특사를 조만간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대북특사와 관련해 미국측의 동의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시점에 대해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방남한 북측 인사들의 메시지를 분석한 후"라고 설명해왔다. 북측의 메시지는 미국과 지속적으로 공유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메시지를 미국과 공유하고 분석한 결과 대북특사 파견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대북특사의 목적도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시 논의했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2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전화 통화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이뤄진 남·북 간 접촉과 미·북 간 비핵화 대화 문제를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통화에서 "북한 대표단 방한 때 논의했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김여정 특사에 대한 답방 형식으로 대북(對北) 특사를 조만간 파견할 계획"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말했다고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는 문 대통령이 대북특사 파견 시기로 "조만간"이라고 언급한 만큼, 오랜 시일이 걸리진 않을 것이다. 한미 연합 군사훈련(4월 첫 주 계획) 이전에 갈 가능성이 커보인다. 평창동계올림픽에 이어 진행되는 평창동계패럴림픽(오는 9~18일)이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이에 청와대는 조만간 대북특사를 낙점하고 파견 시점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정부를 따져 본다면 정권실세 및 대북정책 책임자(박지원·정동영), 국정원장(임동원·김만복)이 대북특사의 키워드로 꼽힌다.

대통령의 의중을 정확하게 북측에 전달할 수 있고, 어느 수준의 재량권이 있을 정도의 실권자이면서, 북한 내부 사정에 밝은 인사들이 대북특사로 갈 게 유력하다. 문 대통령이 "김여정 특사의 답방형식"이라고 한 점에 미뤄볼 때 대북특사의 정치적 위상이 강조될 수 있다. 김여정 특사는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동생으로 '재량권'을 갖춘 인사였다.

그러면서 대북특사로는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이 우선 거론돼왔다. 임 실장은 문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최측근이다. 이미 아랍에미리트(UAE) 특사로 파견을 가며 양국 간 이슈를 원만히 해결한 실적도 있다. 전문성에 무게를 둔다면 서훈 국정원장이 빠질 수 없다. 북한의 김영철 부위원장과 '국정원-통전부 채널'도 복원된 상황이다. 북한 문제와 관련한 주무장관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도 전문성을 갖췄다. '격'을 따졌을 때 이낙연 국무총리가 나서야 한다는 말도 있다. 북한의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김여정 부부장과 함께 방남을 했었기 때문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미국이 미·북 간 대화에 더 적극 나서줄 것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최근 "미국은 대화의 문턱을 낮춰야 하고, 북한은 비핵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밝혀왔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2일 문 대통령의 대북 특사 파견 계획에 대해 "남북간 논의를 풍성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아울러 김현 민주당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남북간 대화와 교류 협력이 활성화될수록 신뢰를 기반으로 한 남북과 북미간 문제 해결은 더 수월해진다"면서 “문 대통령이 밝힌 대북특사 파견 방침을 적극 환영하고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