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 화면 캡쳐> 

국방부가 제주 4·3사건에 대해 71년주년을 맞이하며 처음으로 공식적인 유감을 표하고 희생자에 대한 깊은 유감과 애도의 뜻을 밝혔다.

국방부는 3일 입장문을 통해 "제주 4·3특별법의 정신을 존중하며 진압 과정에서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과 애도를 표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한미 국방장관회담을 위해 방미 중인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대신해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본인 명의가 아닌 '국방부' 차원의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가 4·3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울러 국방부는 제주 4·3 사건을 군과 경찰이 무장봉기를 진압한 사건이라며 사과나 유감 표명을 별도로 한 바가 없다.

이날 검은색 양복과 검정 넥타이를 맨 국방부 관계자가 출입기자실을 방문해 이 같은 내용의 국방부 입장문을 낭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오늘 국방부의 입장 표명은 제주 4·3 사건을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한 '제주4.3사건 특별법' 정신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서 차관 또한 이날 중 광화문 4·3사건 희생자 추모공간을 방문해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표명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의 4·3사건 진상규명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 4·3사건은 1947년 3·1절 기념식 발포사건부터 1954년 9월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 와중에 양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지난해 기준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가 확정한 희생자 수는 약 1만4200여명이다. 진상규명 보고서는 희생자 수를 약 2만5000∼3만명 사이로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제주 4·3사건에 대한 국가차원의 사과와 반성은 2000년 김대중 정부 시절 때 특별법 제정으로 시작됐다.

2003년 고(故) 노무현 대통령은 현직 대통령으로 처음으로 사건 발생 55년 만에 제주도민 400명이 참석한 자리에서 4·3 사건에 대해 공식 사과를 했다.

하지만 이후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재임기간 중 열린 4·3사건 위령제나 국가추념일에 단 한차례도 방문하지 않았다.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은 제주 4·3 70주년 추념식에 참석해 사과와 유감의 뜻을 밝히고 철저한 진상규명괴 피해자의 배상 및 보상을 약속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