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유리나 기자 

오징어 게임으로 대박을 친 황동혁 감독이 차기 작품 주제로 '고령화'를 손꼽았다. 그만큼 우리 사회 고령화 문제는 점점 더 가까워졌음을 의미한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26년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이라는 수치 결과가 나왔다. 아직 고령화사회도 대비 못했는데 초고령화사회를 맞이하게 됐다는 소리다. 이는 고령 1인 가구의 증가만 보더라도 실감 할 수 있다. 

최근 전남도의회 최선국 의원과 인터뷰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증가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대도시보다는 지방으로 갈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전남도 고령 1인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70대 1인 가구(18.9%), 다음으로 60대(17.3%), 50대(16.7%), 80대(15.5%) 순이다.  50대 이상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68.3%에 달한다. 이말인즉 향후 빠른 시일 내 고령 1인 가구가 증가할 것이라는 소리다. 전남도 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 고령화에 몸살을 앓고 있다. 

강원도 고령화도 심각하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수는 12만2000가구로 전체 가구(66만1000가구)의 18.4%를 차지했고 이중 고령자 1인 가구는 7만가구로 10.6% 수준이다. 고령화와 고령자 1인 가구 증가세로 강원지역 1인 가구 수는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하지만 고령화의 가파른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 고령화에 뚜렷한 대안책은 없어 보인다. 

초고령화 사회로 간다는 얘기는 그만큼 부양해야 할 인구가 점점 늘어난다는 소리와도 같다. 여기에 한 지방의 소멸까지고 초래 할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다. 우리가 생각하지도 못한 사회가 도래할 수 있다.

어쩔수 없이 맞이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대책을 마련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현명하다.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속도를 내는 고령화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준비하지 않으면 그 타격은 고스란히 사회 악순환으로 남게 된다. 인간의 삶에 있어서 나이가 든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나이 든다고 나무랄 일이 아니다. 적어도 우리가 마주하게 될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맞는 정책 보안이 뒷받침 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