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장애인의 날이면 반복되는 게 있다. 장애인 권리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다. 매년 같은 내용의 집회가 벌어지고, 정치권에서는 장애인 인권 개선을 약속한다. 

문제의 반복 속에 장애인 복지는 한 발도 나아가지 못했고, 홀로 생활하는 장애인 1인 가구 수는 더욱 증가했다. 

장애인 1인 가구는 생활 위험 요인이 높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더욱 정도가 심하다. 실제로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실시한 '장애인 자살예방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설문조사'에서 장애인 1인 가구의 41.7%가 '매우 우울하다'고 답했다. 이는 다인 가구보다 10배나 높은 수준이다. 

장애인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심각한 사회적 고립, 돌봄 공백,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반증이다. 

경제적인 부분도 장애인 1인 가구의 홀로서기에 큰 장벽이다. 소득은 적은데 지출은 많은 구조여서 재정적 지원이 없다면 경제적으로 빈곤해지기 쉽다. 

따라서 홀로 독립해 살아가는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생활지원, 심리적 돌봄 확대, 지역 사회의 인식 개선, 긴급상황 대응책 등이 요구된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아직도 이들에 대해 안일한 대처를 이어가고 있다. 

장애인 1인 가구 수는 전체 장애인 가구의 27.2%(2020년 기준)로 비장애인 1인 가구와 마찬가지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장애인복지정책 성향이 자립생활 지원 강화에 맞춰져 있어서다. 여기에 가족의 이해 부족 등으로 자립을 원하는 장애인 역시 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세를 감안하면 국내 장애인 1인 가구 수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감을 느끼는 사회적 약자가 증가한다는 의미다. 

정부와 지자체는 장애인 1인 가구가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맞춤형 지원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