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리캔버스/디자인=안지호 기자
사진=미리캔버스/디자인=안지호 기자

연말·연시에는 유독 고독사 관련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 부쩍 추워진 날씨에 외부활동이 줄면서 사회적 관계망이 옅어져서다. 

홀로 생활하는 1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정서적 영향을 다인 가구보다 크게 받는다. 이에 연말에는 독거노인 등 1인 가구를 향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  

5일 [1코노미뉴스]가 통계청의 사망원통계 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의 경우 연말인 11월 자살사망자 수가 956명으로 줄었다가 12월 1021명으로 급증했다. 2020년에는 12월 913명으로 감소했다가 1월 1092명으로 뛰었다. 그에 앞서 2019년에도 11월 1098명에서 12월 1190명, 2020년 1월 1092명을 기록했다.  

올해도 유사한 흐름이 재현될 수 있다. 한파 속 소외계층의 안타까운 소식을 막기 위해 매년 고독사 예방 강화 목소리가 나오지만, 현실은 무엇하나 달라진 게 없어서다.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려면 정부·지자체의 위기가구 발굴이 중요한데 관련 실태조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다. 

그나마 올해는 정부가 고독사예방법에 따라 이달 중 첫 고독사 실태조사를 통한 고독사 통계를 분석·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도 연말까지 수립한다. 또 고립 ·은둔청년의 고립 척도 기준을 마련한다. 

이러한 정책은 미래를 위한 준비과정이다. 당장 올 연말에는 지역사회가 위기가구를 품는 데 주력해야 한다. 

무엇보다 고령층뿐만 아니라 중장년, 청년층에서도 고립 문제가 불거지고 있어 연말을 바라보는 복지 전문가들은 우려의 시선을 보낸다. 

고(高)물가·고(高)금리로 인한 가계 악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빚투'(빚내서 투자) 후폭풍 본격화 등이 경제적·정서적 악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1년 자살원인(동기)별 자살현황을 보면 정신과적문제가 전체의 39.8%, 경제생활문제가 24.2%를 차지한다. 

따라선 연말에 대비해 지자체들은 고독사·위기가구 관리 체계 점검 및 발굴을 서둘러야 한다. 

박진옥 나눔과나눔 사무국장은 "복지국가는 요람에서부터 무덤까지 전 생애 과정에서 국가의 책임을 강조한다. 고독사라는 정책이 죽음 문제가 아닌 삶이 문제가 되어야 한다"며 "사회적 고립과 단절을 예방하고 관계를 형성해 예방을 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희선 일본 전문 칼럼니스트는 "한국의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은 사실상 목표(2020년 자살률 17.0명) 달성에 실패했다. 자살사망자 수를 획기적으로 감축시키려면 일본처럼 과감한 정책이 요구된다"며 "일본은 1인 가구 문제를 사회전반으로 확산시켰다. 기업이 관련 서비스를 내놓고 관련 민간단체도 많다. 한국도 정부·지자체에만 머물지 않고 지역사회가 이를 품어야 비로써 고립으로 인한 자살·고독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