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지마 칼부림' 사건 여파가 수일째 계속되고 있다. 여전히 온라인상에는 살인 예고글을 올리거나, 흉기를 소지하고 이동하다가 검거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시민들의 불안감이 극에 달하면서, 대한민국의 범죄 안전체감도를 단번에 끌어내린 현 사태의 원인을 분석하는 보도가 줄줄이 나오고 있다. 

그중 이목을 끄는 부분은 살인 예고글을 올리거나 흉기 소지로 검거된 이들이 대부분 20대이고 정신병력과 사회적 고립 상태였다는 점이다. 

고립된 외톨이 청년, 특히 사회적 고립·은둔 상태인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심리적 돌봄 필요성 서비스 확대가 시급하다는 의미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19~34세 청년 1077만6000명 중 53만8000명이 고립 상태다. 서울시 실태조사에서는 약 61만명의 청년이 고립·은둔 상태로 추정된다.

1인 가구 급증 등으로 청년 1인 가구가 늘면서 고립·은둔 청년 역시 늘어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해 왔다. 이번 사태처럼 고립 상태에서 사회에 대한 불만과 혐오가 쌓일 경우 잘못된 방식으로 표출될 수 있기도 하지만, 스스로 고립 상태를 벗어나기 힘든 고립 문제의 특수성 때문이다. 

실제로 고립·은둔 청년 관련 포럼에서 만난 청년들은 지인 등 누군가가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준 덕분에 사회로 복귀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특히 고립·은둔 초기에 스스로 용기를 내고 사회에 복귀했다가 다시 좌절하는 경우 더욱 심각한 고립 생활을 이어가게 된다고 한다. 

당시 포럼에 참여했던 한 청년은 고립 생활을 돌아보면서 "도움의 손길을 거부하면서도 내적으로는 도움을 기다리는 심리적으로 상충된 상태였다"고 토로했다. 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도, 결국 집에 오면 환경적으로 바뀐 것이 없더라, 결국 치료 전 상태로 돌아가고 고립 생활과 세상에 대한 불만만 키우는 일이 반복됐다"고 전했다.

고립·은둔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면밀한 실태조사와 중장기적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따라서 이번 묻지마 칼부림 사태로 이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낙인찍을 것이 아니라, 예방을 위해서라도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경제·사회적으로 고립·은둔 청년 1인 가구에 맞는 돌봄 서비스를 마련하고, 지자체 또는 일부 연구기관에서 추정치로만 발표하는 실태조사가 아닌 정부 차원의 실태조사를 서둘려야 할 때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