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이지스자산운용이 최근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청년안심주택에 뛰어든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사진 = 1코노미뉴스

이지스자산운용의 첫 번째 청년안심주택(구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이 준공을 마치고 임차인 모집을 시작했다. 부동산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이지스자산운용이 최근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청년안심주택에 뛰어든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17일 이지스자산운용에 따르면 '이지스 청년주택 제1호 리츠'의 편입자산 '천호역 청년안심주택'은 지난달 준공하고 임차인을 모집 중이다. 또 성동구 용답동과 용산구 원효로3가 청년안심주택도 시공 중이다.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 추진 중인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안정 지원 정책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후 판이 커져 2030년까지 12만가구 공급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시는 사업 참여자에게 과감한 인센티브를 제공 중이다. 

특히 용도지역변경을 통해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높이고, 사전검토 절차 면제 혜택을 줬다. 심지어 역세권이 아닌 간선도로 인접 지역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공공임대는 서울시에 기부채납하고 나머지 민간임대주택은 10년 후 통매각이 가능한 구조다. 

즉 이지스자산운용과 같은 사업자는 용적률 500%란 특혜를 받고, 10년 동안 임대수익을 거두면서 버티다가 부동산 시장 상황에 맞춰 통매각을 실현하면 막대한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실제로 앞서 준공한 천호역 안심주택은 이지스청년주택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지분의 50%를 보유하고 있다. 서울 용산구 원효로3가에 조성되는 청년주택의 경우 이지스용산청년주택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시행사다. 공공임대 192가구, 민간임대 635가구 규모로 조성되는데 이지스자산운용이 지분 33.3%, DS네트웍스가 66.7%를 갖고 있다. 자기자본, PF대출, 공공주택 매각대금으로 재원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문제는 지금 지어지는 청년안심주택의 10년 후 모습이다. 공공물량을 제외한 민간임대물량은 일반분양으로 전환돼 매매될 가능성이 높다. 결구 청년안심주택은 그 기능을 대부분 상실하게 된다. 

이에 일각에서는 부동산 규제를 우회하는 편법 투자라는 비판과 허술한 정책의 틈을 파고드는 꼼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안심주택이 아니면 대규모 주택 건설이 불가능한 토지를 헐값에 사서 막대한 시세차익을 누리는, 부동산 투자사에 유리한 구조라는 것이다.

다만 이지스자산운용 관계자는 "청년안심주택 사업은 의무임대기간 저렴한 임대료로 임대를 제공해 임대수익을 재원으로 투자수익 회수를 기대할 수 없는 구조다. 의무임대운영기간 종료 후 분양/임대여부는 결정된 바도 없다"며 "자산운용사가 이중으로 수익을 수취할 수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소 10년 이상의 장기 투자 프로젝트로 인허가 및 개발 리스크를 모두 사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점, 다른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사업과 동일한 법령이 적용돼 규제를 우회하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