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새 세 집 건너 한 집이 1인 가구인 시대가 됐다. 2022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21년 서울시 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36.8%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1인 가구는 이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구 형태로 자리매김했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24개 1인가구지원센터에서 교육, 여가, 상담, 사회적 관계망 개선 등 다양한 1인 가구 지원 사업을 펼쳤다. 총 3만2825명의 시민이 1인 가구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1640건의 1인 가구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1인 가구는 만족감을 느꼈을까. [1코노미뉴스]는 서울시와 함께 '1인 가구 지원사업 우수 수기 공모전'에 참가한 1인 가구의 체험담을 <1인 가구 스토리> 코너를 통해 장기 연재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종로구 1인 가구 A씨=서울시 1인 가구 지원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계기는 우연히 서울시청 홈페이지에 나타난 배너를 통해서였다. 덕분에, 그 이후로는 씽글벙글서울 홈페이지를 하루에도 수차례 방문하면서 어떠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지 보게 되는 것이 취미가 됐다. 

예전에는 서울시청 홈페이지 하단에 나타나는 무연고 사망자에 관한 내용을 보게 될 때면 나의 미래가 저렇게 되면 참 쓸쓸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여러 가지 고뇌에 빠지고는 했었다. 그러나 이 씽글벙글서울 홈페이지를 알게 된 후, 삶에도 조금씩 변화가 나타났다. 홈페이지 접속 횟수가 증가할수록, 1인 가구에 관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어 이에 대해 알아보는 재미가 커졌다. 어떠한 프로그램이 현재의 나와 적합할까?, 내가 조금 더 긍정적인 삶을 사는데 도움이 될까?, 나와 비슷한 1인 가구들은 어떻게 하루를 보낼까? 등 생각해 보는 기회가 생겼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도 차차 1인 가구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이 현실처럼 다가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그만큼, 서울시에서 차지하는 1인 가구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나 또한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많은 위안과 위로가 됐다. 하반기에 이렇게 유익하고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많은 아쉬움이 났지만 참가했던 사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에 대해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다. 

종로구 가족센터에서 진행했던 1인 가구 관계 증진 '슬기로운 1인 생활'이다. 가장 처음에 참여했던 프로그램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구성이 체계적으로 탄탄하게 되어 있어서 참여자로서 가장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 13명이 참여했다. 총 5번의 횟수로 구성된 이 사업은 3주 동안 정기적으로 화요일과 수요일에 줌회의를 통해서 이뤄졌다.

생애설계 I, 수세미 제작, 생애설계 II, 도마 만들기, 그리고 집밥 만들기로 구성됐다.  한 분의 선생님께서 생애설계부터 도마 만들기까지 진행을 해주시는데, 조근조곤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참여자들의 의견을 들어줬다. 참여자들은 스피커 폰, 문자 등과 같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자신의 이야기를 전할 수 있어서 온라인의 큰 장점이 드러났다.

일면식도 없었던 12명의 사람과 정기적으로 요일과 시간을 정해서 만나나보니,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아도 무언가 끈끈한 연대감을 느낄 수 있었다. 무엇보다 맨 마지막 '집밥 만들기'에서는 각자의 부엌에서 하루 동안 수고한 자신에게 선물하는 요리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유일하게 '나만을 위한 시간, 나만을 위한 요리, 나만을 위한 선물'을 할 수 있는 시간이 허락됐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로, 주변 1인 가구에게 씽글벙글 사이트를 많이 소개했다. 무엇보다 이 사이트는 서울시 자치구 25개에 있는 1인 가구 프로그램들이 모두 다 기재되어서 검색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본인의 취향에 맞는 유익하고 소중한 프로그램들에 잘 참여해서 주변1인 가구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더 탄탄한 네트워크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했으면 좋겠다. 지금도 충분히 잘 알려진 사이트이지만 조금 더 홍보 및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하면 더 많은 1인 가구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이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