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인 가구의 빈곤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대학 졸업 후 활발히 경제활동에 임해야 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에 실패하는 경우가 늘어서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청년 1인 가구의 빈곤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대학 졸업 후 활발히 경제활동에 임해야 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에 실패하는 경우가 늘어서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청년 1인 가구의 빈곤이 심화하고 있다. 사회에 진출해 취업 후 자산을 늘려가는 시기에 여전히 비정규직에 머물면서 경제적 격차가 커져서다. 최근에는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도 취업에 실패한 청년 1인 가구가 늘면서, 학자금 대출 부담과 생활비 압박을 동시에 받는 이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이달 임금근로자는 2195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만명 늘었다.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37.0%로 전년 동월 대비 0.5%포인트 줄면서 고용안정성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런데 연령계층별 특성을 보면 비정규직 근로자 중 20대와 30대 비중이 각각 0.2%포인트 늘었다. 30대는 한시적 비정규직이 4만명 늘었고, 20대는 시간제 비정규직이 2만9000명 증가한 탓이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중 20·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9.7%로 전년 동월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다. 

이목을 끄는 또 다른 부분은 대졸이상 졸업자의 비정규직 증가다. 전년 동월보다 0.8%포인트 늘면서 고학력자의 취업난이 드러났다. 

여기에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 비자발적 사유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경우가 0.4%포인트, 이직 또는 취업준비 등을 위한 경우가 1.6%포인트 늘었다.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달리 근로계약기간이 정해져 있거나 근로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이렇다 보니 청년층 비정규직 증가는 일자리 질 악화로 해석된다. 특히 30대의 경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진다. 

대학 졸업 후 취업전선에 뛰어든 청년층의 실패가 장기화하면 결국 경제적 빈곤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홀로서기에 나선 1인 가구라면 더 큰 타격이다. 

취준생 2년차인 한원중(가명, 28) 씨는 "대학 졸업 후에도 취업을 못하고 대학가에 남아 있을 줄 솔직히 몰랐다. 어느 정도 생각하는 게 있어 취준생이 됐고, 지금은 아르바이트로 생활비를 마련하면서 아껴 살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1인 가구 정승현(가명, 30) 씨는 "인턴제가 문제다.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해 준다고 해서 2~3곳 돌고 나니까 서른이 됐다"며 "어디선가 취업난이 청년인구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라고 본 거 같은데, 말도 안 되는 탁상공론이다"고 지적했다. 

청년 부채도 심각하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7월부터 올해 7월까지 1년 간 5대 은행 및 6대 증권사의 담보·신용대출·주식융자 신규 취급액은 476조93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20·30세대가 진 빚이 133조8093억원이다. 

청년층 부채 중 주택담보대출이 75조4604억원, 신용대출이 8조4888억원이다. 주담대는 이른바 '영끌'로 투자에 따른 선택이지만, 신용대출은 생계비 마련을 위한 대출이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다. 

빚이 늘어난 만큼 부채 상환에 허덕이는 청년도 증가했다. 올 7월 기준 연체액은 4940억원으로 지난해 말 3524억원보다 1416억원 증가했다. 심지어 시중은행에서 대출 받지 못해 대부업체로 향한 청년층의 연체율도 올 상반기 12.5%를 기록했다. 

이에 청년 1인 가구의 경제적 빈곤 완화를 위해 취업 실패 또는 실직 시 학자금 대출 연체 이자율 인하를 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사회초년생부터 신용불량자가 돼 부채의 늪에 빠지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취지다. 

김영재 평택대학교 겸임교수는 "청년층이 겪는 각종 사회 문제 중 하나가 경제적 양극화다. 빈곤의 굴레에 빠지지 않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최근 정부 정책도 경제적인 부분이 많다"며 "그런데 보다 세부적으로 청년 1인 가구를 챙길 필요가 있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관심과 맞춤형 대책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