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관련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고독사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고독사 관련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고독사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아마 나는 고독사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구에서 안부 확인을 하는데, 이게 뭐 죽었나 살았나 확인이지 다를게 없다."

서울 중구에 거주하는 중장년 1인 가구 A(57)씨는 기초수급자로 구청 복지시스템에 등록된 위기가구 관리 대상이다. A씨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집에 홀로 있는 시간이 길어졌다. 외출을 해도 특별히 만날 사람도 없다는 그는 겨울이 되고 우울감과 외로움에 휩쌓이는 날이 늘었다.

연말연시에는 유독 고독사 관련 소식이 많다. 추운 날씨에 외출을 꺼리면서 상대적으로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심화 가능성이 높아서다. 여기에 겨울에는 지병이 악화하기 쉽고, 심근경색, 뇌졸증 등의 질병 위험도 높다. 

이렇다보니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예방·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취약층으로 분류되는 고령 1인 가구(독거노인)의 경우 고독사 예방을 위해 지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중장년의 경우 여전히 사각지대에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한 고독사 실태조사에서 이미 50·60대 남성 중장년 1인 가구가 고독사 위험군으로 밝혀졌지만, 아직까지도 지자체별 고독사 예방 사업에서 중장년이 제외된 경우가 대다수다. 

고독사 예방법이 발효되고 정부 차원의 기본계획이 실행되고 있지만, 체감적인 변화는 찾기 힘들다. 

정책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별로 꼼꼼한 대응과 맞춤 지원이 필요한데, 여전히 고독사 지원은 '안부 확인'과 '자조 모임'에 그치고 있어서다.

심지어 이제서야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한 고독사 실태조사에 나서는 곳도 허다하다. 실태조사는 대책을 마련하기 전 단계인 만큼, 당장 올 겨울에는 이렇다할 대책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로 울산시 울주군은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3개월간 취약계층 고독사 예방을 위해 '중장년 1인 가구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대상은 만 40~64세다. 울산 북구도 내년 2월 28일까지 중장년 1인 가구 대상으로 대면 인터뷰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경남 진주시는 고독사 비중이 높은 50~65세 미만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추진한다. 

또 전남 곡성군은 이제서야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전남 구례군, 경기도 하남시, 충남 금산군, 경기도 시흥시, 충남 당진시, 경북 성주군 등도 최근 조례를 제정한 곳이다.

실태조사를 넘어 지원책을 펼치고 있는 곳도 효과는 미비하다. 약자와 동행을 강조하면 촘촘한 위기가구 관리에 나서고 있는 서울에서 조차 중장년 1인 가구 고독사는 계속되고 있다. 

이렇다보니 고독사 지원 자체가 주기적인 안부 확인에 그쳐, 근본적인 예방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중장년 1인 가구의 경우 '자존심' 때문에 서비스를 거부하는 경우도 많아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조언도 있다.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장은 "중장년 남성의 경우 복지 공무원이 찾아가 생활과 건강에 대한 서비스를 안내해도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며 "자포자기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복지 현장이 포기하고 신경을 못 쓰는 사이에 사회적 고립은 점점 심화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중장년 고립 가구를 위한 다양한 마음건강 서비스가 필요하다. 전문상담가보다는 비슷한 경험을 한 동료 상담가가 더 나을 수도 있어, 여러 형태의 창의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