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심으로 '1인 가구 포털 서비스' 운영에 돌입하고 있다. 이에 [1코노미뉴스]는 각 사이트별 서비스 특징을 살펴봤다./사진=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1인 가구 포털 사진 캡쳐, 미리캔버스
수도권 중심으로 '1인 가구 포털 서비스' 운영에 돌입하고 있다. 이에 [1코노미뉴스]는 각 사이트별 서비스 특징을 살펴봤다./사진=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1인 가구 포털 사진 캡쳐, 미리캔버스

1인 가구 수가 빠르게 늘면서 '1인 가구 포털 서비스'를 운영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1인 가구 관련 지원 서비스는 다양화했지만, 정작 이를 이용해야 할 1인 가구의 인지도 및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반영해서다. 

특히 청년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수도권 지자체의 대응이 빠르다. 지자체 최초로 해당 포털을 내놓은 서울시에 이어 지난 연말 경기도, 이달 인천시가 합류했다. 

1인 가구 포털 서비스는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정책 정보와 지원 프로그램 신청 등을 한 곳에서 한번에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평받는다. 하지만 수도권 3개 시도가 각각 운영하는 해당 포털을 살펴보니, 그간의 문제점으로 지목된 부분이 전혀 반영되지 않아 아쉬움을 남긴다. 

본지는 26일 첫 시작을 알린 '인천 1인 가구 포털'에 접속해 봤다. 먼저 인터넷 검색창에 '인천 1인 가구 포털'을 찾아보니 관련 정보글만 있고 홈페이지는 바로 나오지 않았다. 인천시청 홈페이지에 접속해서도 직관적으로 찾기 어려웠다. 

결국 해당 정보글에 있는 주소를 직접 검색한 후에야 인천 1인 가구 포털에 접속할 수 있었다.

이곳에는 1인 가구 정책, 지원사업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었다. 특히 정서, 주거, 안전, 건강, 경제 분야로 나눠 진행 중인 프로그램 정보가 있어 신청이 가능했고, 온라인상담 코너도 마련되어 있다. 

온라인상담 코너를 마련한 것이 이목을 끄는 부분이지만,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이고, 운영 방식도 게시글 형태였다. 포털 서비스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수준이다.  

지난 연말 오픈한 경기도 1인 가구 포털은 어떨까. 일단 검색창에서 사이트는 바로 찾을 수 있었다. 구성은 비슷한데, 경기도 내 시군별 또는 안전, 주거, 경제/일자리, 사회관계망, 건강돌봄, 기타 등 카테고리별로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도록 했다. 

경기도 특성을 반영해 지역을 선택한 후 2차로 카테고리를 선택해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도록 한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프로그램 신청을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로 연결해 들어가야만 해 불편하고, 심지어 연결이 불안정한 모습까지도 보인다. 또 보도자료를 올리는 홍보자료 코너의 필요성도 의문이다. 

가장 앞서 1인 가구 포털을 선보인 서울시는 1인 가구 유입을 이끌기 위한 각종 콘텐츠를 운영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생활정보 등을 담아낸 콘텐츠로 포털 서비스 자체에 대한 자연스러운 유입을 노렸다. 여기에 1인 가구 지원맵, 오늘 접수 가능한 프로그램 등을 직관적으로 배치한 점도 차이점이다. 

세 개 1인 가구 포털을 비교해 보면 다양한 1인 가구 지원 프로그램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은 같다. 그러나 신청 편의성 면에서는 서울시와 인천시가 진보된 모습을 보였다. 특히 경기도는 개선이 필요했다. 콘텐츠 다양성 등은 서울시가 가장 나았다. 

이처럼 운영 4년차인 서울시 1인 가구 포털보다 최신판인 경기도, 인천시 포털이 보다 포털의 역할에 충실했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더 큰 문제는 서울시 1인 가구 포털조차 현장에서는 혹평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세 곳 모두 단순히 지원 프로그램 소개 및 신청 창구 역할에 그치고 있다. 병원동행서비스, 에너지바우처 신청 등 정책적인 서비스 부분에 대해서는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사실상 '반쪽짜리' 서비스가 양산되듯이 나오고 있는 셈이다. 

앞서 경기도의회에서도 '1인 가구 포털 사이트가 미완성 상태로 개설되는 것 아니냐'는 경계의 목소리가 나온 바 있다.

전문가들도 첫 사례인 서울시 1인 가구 포털 사례를 꼼꼼하게 검토해서 한층 개선된 플랫폼이 등장해야 하는데 현실은 한 발도 나아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서정렬 영산대 교수는 "지자체별로 1인 가구 지원을 위한 정책 마련과 설정, 구체적 실행 등은 중요하다. 이를 소개하고 구체적인 활용과 이용을 위한 방법을 알리는 것은 더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지자체별 1인 가구 포털 제작은 시급한 문제"라며 "다만 서울시가 최초로 1인 가구 포털을 내놓은 시점이 2021년 9월이다. 벌써 4년차인 만큼 적어도 후속 포털이라면 한층 개선됐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