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고물가로 청년 1인 가구의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미리캔버스
연이은 고물가로 청년 1인 가구의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미리캔버스

"이달부터 한 달 식비를 15만원으로 줄였다. 생활비가 너무 많이 올라서다. 알바를 늘릴 수는 없어서, 식비를 최대한 아끼는 것으로 결정했다. 삶이 너무 팍팍해졌다."

"군대 다녀와서 복학했더니 세상이 달라졌다. 말도 안 될 정도로 생활비가 올랐다. 안 먹고 안 써도 돈이 모자르다. 절약으로는 감당이 안 되니 알바를 늘리게 되고 결국 학업에도 영향이 가고 있다." 

청년 1인 가구의 극한 생활비 감축이 계속되면서 한계를 호소하는 이들이 늘었다. 물가 안정화가 시급하지만,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멈출 줄을 모르고 있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한 달 만에 3%대 복귀다. 체감 물가라고 할 수 있는 생활물가지수는 3.7% 상승했고, 신선식품지수는 무려 20.0%나 뛰었다. 

2023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4.7%나 올랐던 것을 감안하면 실제 체감상 물가는 그야말로 폭등 수준이다. 

1인 가구에게 영향이 큰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는 전년 동월 대비 6.9% 올랐다. 지난해 2월에 5.7%나 올랐던 품목이다. 

지난달에는 과일·채소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신선과실은 41.2%나 오르면서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문제는 농산물 등 생활물가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이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월 수준에서 유지됐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산물을 중심으로 지난달보다 높아졌다"며 "농산물 등 생활물가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수 있다"고 평가했다. 

청년 1인 가구의 생활비 부담을 키우는 또 하나의 원인은 월세다. 신학기에 맞춰 월세가격이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지난달에도 월세는 0.8%나 상승했다. 여기에 공동주택관리비도 3.6% 올랐다. 

이외에도 ▲치킨(5.4%) ▲시내버스료(11.7%) ▲구내식당식사비(4.7%) ▲티셔츠(10.4%) 가격도 올랐다. 

고물가에 청년 1인 가구 사이에서는 과일은 사치품이 됐다.

20대 1인 가구 최주환(가명) 씨는 "얼마 전에 인스타에 부모님이 보내주신 사과 사진을 올렸다가 '사치를 부린다' '돈 많은 것 자랑하냐'는 말을 들었다"며 "생활고에 자취를 포기하고 부모님 집으로 돌아가는 친구가 늘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20대 1인 가구 송현창(가명) 씨는 "한 달 생활비 120만원이 든다. 월세와 관리비 70만원, 식비 30만원, 교통비 10만원, 기타 10만원이다. 한 달 내내 고구마 먹고, 학식 먹어서 30만원을 넘기지 않으려고 한다. 물가 저렴한 동남아 같은데로 이민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처럼 물가 부담에 따른 청년 1인 가구의 피로도가 높아진 가운데 정부는 물가 상황을 엄중하게 지켜보고 체감 가격을 낮추기 위해 힘을 쏟기로 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4월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역대 최대 수준인 600억원을 투입해 사과·배 등 주요 먹거리 체감 가격을 최대 40~50% 인하하도록 할 것"이라며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오렌지·바나나 등 주요 과일을 직수입해 저렴한 가격으로 시중에 공급하고 수입 과일 3종에 대해 추가 관세 인하를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곡물가격이 하락해도 식품가격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물가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있다. 원료가격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인상했다면, 원료가격 하락 때 이를 반영해야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 경영활동"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최근 3년간 밀가루·식용유 원재료 추이를 점검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밀가루 원재료인 소맥분(1㎏ 기준)은 2023년 1분기부터 하락해 4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1.0%까지 떨어졌다. 식용유 주 원재료인 대두유(1.8L 기준)도 지난해 4분기 28.7% 하락해 2022년 1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원재료 가격을 이유로 치솟은 가공식품과 외식물가는 여전히 그대로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