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가영 기자
조가영 기자

최근 직장 내 비혼지원금 도입에 대한 찬반 논쟁이 뜨겁다.

가치관에 따른 복지 차별은 없어야 한다는 점에서 나온 제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반론이 많다. 저출산이 심각한 상황에서 영향력이 있는 대기업이 비혼을 장려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비판이다.

실제로 최근 현대자동차 노조가 비혼을 선언한 직원에게 지원금을 주는 새로운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각종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시대 역행' 논란이 벌어졌다.

사상 첫 0.6명대 출산율을 앞둔 상황에서 나온 파격 제안이어서 더욱 이목이 쏠렸다.

한 누리꾼은 "정부와 기업이 함께 결혼과 출산, 육아 지원에 힘을 쓰기도 모자란 상황에 기업이 돈까지 주면서 비혼을 독려하는 것은 시대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찬성 입장에 힘을 보태고 싶다.

비혼주의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제도가 탄생한 것은 급변하는 시대를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과거 결혼과 출산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가족 구조와 달리 핵가족과 부부만으로 이루어진 가족의 비율이 급증하고, 1인 가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등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비혼 증가는 각종 통계로로 확인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결혼에 대한 태도 조사에서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 또는 '하는 것이 좋다'고 대답한 여성은 20대 27.5%, 30대 31.8%에 그쳤다. 2008년 같은 문항에 대한 답변이 50%에 육박했던 점을 감안하면 큰 폭으로 줄었다.

2008년에만 해도 70% 수준이었던 남성 청년 응답은 20대 41.9%, 30대 48.7%로 더 크게 감소했다.

이를 보면 결혼이나 출산지원금은 독립적인 라이프 스타일 경향의 MZ세대를 감동시킬 만한 사내 복지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미혼 또는 비혼자들 사이에선 기혼자에 비해 복지혜택을 누리지 못한다는 불만이 제기된다.

비혼지원금은 비혼 장려가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을 존중해 복지 차별을 없애자는 취지라는 의견에 공감한다.

비혼주의자·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이들이 일하기 좋은 기업환경이 만들어지는 과도기에 온 지금, 달라진 현실을 복지제도에 반영하려는 기업의 의지를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