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고독사 문제가 심각하다. 혼자 사는 노인은 물론 중장년, 청년층까지 홀로 외롭게 죽음을 맞이하는 일이 빈번하다. 

정부는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 돌봄 서비스를 내놓고 있지만 중장년, 청년층 등 사각지대에 있는 1인 가구는 아무런 조치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보고서를 보면 2017년 국내 1인 가구는 562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7.2%를 차지했다. 2000년 222만가구에서 2017년 사이 156.2% 증가한 수치다. 

1인 가구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2015년 기준 23.3%로 5년 전보다 3.3% 감소했다. 특히 25~34세 1인가구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27.3%에서 23.3%로, 45~54세 참여율은 30.9%에서 26.9%로 하락했다. 

사회와 연결고리가 끊어질 경우 소외감, 외로움 등을 정신적 압박을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정부의 돌봄 서비스가 시급하다는 의미다. 

경제적인 압박감도 상당하다. 1인 가구의 거주형태를 보면 2017년 1인 가구의 주거지 소유 형태는 전세나 월세가 52%를 차지했다. 본인 소유의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경우는 34%에 불과했다. 일반 가구의 자가 비율은 56.8%다.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65% 이상은 월세에 거주하면서 매달 20만∼40만원의 임차료를 내고 있다. 2015년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빈곤율은 전국이 22.6%, 서울은 37.2%로 전체 주거빈곤율인 12%보다 높게 나타났다.

청년층은 취업난 마저 겪고 있다. 지난달 청년층의 실업률은 9.8%로 역대 7월 중 1999년(11.5%) 이후 가장 높았다.

즉 청장년층 1인 가구에서도 경제·사회적으로 고립된, 고독사 위험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고독사 위험군 관리를 청장년층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지자체를 중심으로 생활고를 겪는 등의 징후를 파악해 관계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해외에서는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고독사 관리를 지속해 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은 고독사 예방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중장년층도 관리하고 있다. 

고독사 문제가 심각하지만 실태를 파악할 통계조차 없다. 현재는 그저 무연고 사망자를 기준으로 그 규모를 추측할 뿐이다. 시신을 인수할 가족이나 지인이 없는 무연고 사망자 수는 지난해 2549명을 기록했다. 하루에 7명 꼴로 무연고 사망자가 발생한 셈이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