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디자인=안지호 기자
사진=뉴스1/디자인=안지호 기자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만명 넘게 쏟아지는 가운데 재택치료자는 35만명을 넘어섰다. 코로나19 확진자 '셀프 재택치료'가 시작된 지 일주일째지만 여전히 현장에서는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경우 약 조차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사실상 방치 수준이라는 소리가 새어 나온다. 인프라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 급증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 '각자도생' 놓인 1인 가구 재택치료자들 "약 배달 안되더라"

재택치료자는 18일 0시 기준 35만 명을 넘어섰다. 이로써 여기저기서 방역 당국의 관리망도 현실적으로 상당수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신규 확진자가 무서운 속도로 증가하지만 재택치료자가 늘어나다 보니 통제가 안 되는 상황까지 이른 것. 

특히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경우 기존 정부의 예상과는 달리 약조차 구입 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취재진과 통화한 1인 가구 재택치료자들 상당수가 제대로 된 진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혼자 사시는 어머니가 확진돼 재택치료 중이라는 종로구민 이모(27) 씨는 "엄마가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아직 보건소에서 전화도 안 와 집에서 혼자 격리 중"이라며 "목소리가 아예 안 나오고 구토도 있어 가족들이 돌아가면서 병원에 가서 약 처방을 받아왔다. 확진자가 너무 많으니 이제 보건소도 감당이 안 되는 것 같더라.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경우 약 배달 된다고 들었는데 막상 그렇지도 않다. 그나마 저희 어머니 경우 다른 가족들이 여기저기서 구해서 드렸는데 정말 주변에 아무도 없는 사람들은 어떻게 대처할까 싶다"고 우려했다.

서울 서대문구에서 사는 1인 가구 최모(33)씨도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고 난감했던 상황을 말했다. 최씨는 "보건소에서 약을 배달해 주는 거로 알고 있었는데 인력 부족이라고 딱 잘라서 거절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병원으로 전화했는데 거기도 연결이 안 됐다. 근처에 사는 친구에게 부탁해서 겨우 약을 구했다"고 털어놨다. 

재택치료 5일 차라는 한 회사원 나모(28)씨는 "첫날 보건소에서 연락 온 것을 제외하고는 따로 모니터링은 없다. 증상이 심해져도 내가 직접 보건소나 병원에 연락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가족이 있으면 필요한 물품을 사다 줄 수 있는데 1인 가구는 그것도 안 되니 불편하다"고 말했다. 

강원도 원주에 거주하는 박 모씨는 "코로나19 확진 나오고 혼자 재택치료했는데, 지역마다 차이가 있는지 나는 전화를 해도 받지도 않고 계속 증상을 호소하는데 3일이나 집에서 버티게 했다. 정말 이러다 죽는 거 아닌가 하고 있으니 그때서야 연락이 닿았다"며 "일손 부족은 이해하지만, 주변에 도움받을 곳 없는 혼자 사는 사람은 좀 더 신경 써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 1인 가구 생필품 구매까지 설명하던 정부, 어디갔나 

앞서 정부는 환자별 중증도에 따른 적합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든 환자를 의료체계 내에서 국가가 직접 관리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생활필수품·의약품 구매 등을 누군가 대신해 줄 수 없는 1인 가구를 위해 배송 해법까지 제시했다. 

재택 치료를 실시하기 하루 전날인 지난 8일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인 가구에 대한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자 보건소를 통한 배송을 해법을 내놨다. 

코로나19 확진이 된 1인 가구는 기본적으로 재택치료 격리기간에는 외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생필품은 인터넷을 통해 구매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또한 의약품의 경우 비대면 진료를 통해 약을 처방받으면 보건소가 약국에서 약을 받아 확진자 집으로 배송해 주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독거노인 등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보건소에 연락하면 생필품·의약품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같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게 1인 가구의 공통된 의견이다. 

일각에서는 재택치료 방역시스템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대응 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우영남 한양대병원 교수는 "디지털기기 이용에 익숙지 않은 1인 가구나 40대 기저질환자 등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응급환자 대응 시스템 점검도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