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카카오톡 홈페이지 화면 캡쳐
사진=카카오톡 홈페이지 화면 캡쳐

지난 10월 발생한 '카카오 먹통 사태'는 소비자 고발에 '카카오 먹통 방지법'까지 등장하며 사회적 혼란을 빚었다. 

이후 비상대책위원회를 가동하고 재발 방지 대책에 나선 카카오는 지난 7일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에서 재발 방지 대책을 공개했다.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이사는 “섬과 섬 사이 다리를 연결할 때 처음과 끝을 완성하지 못하면 다리라고 말할 수 없다. 우리는 이중화되지 못한 다리였다”며 “과거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고, 미래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카카오 내부 인프라 조직을 정비하고 IT엔지니어링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담조직을 만들기로 했다. 또 서울대 시흥캠퍼스, 안산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안에 자체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카카오 먹통 사태의 사고 원인은 SK C&C의 부실한 화재대응시스템과 카카오의 데이터센터 간 미흡한 이중화가 지목됐다. 

남궁훈 전 대표는 “미래에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카카오 서비스 안정화가 우리의 최우선 과제이고 사회적 책임이라는 것을 명심할 것”이라고 전했다. 

고우찬 카카오 비대위 재발방지대책 공동 소위원장은 "안산 데이터센터는 2024년 사용을 목표로 총 4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며 "24시간 무중단 운영을 위한 이중화 인프라 구축은 전력·냉방·통신 등 3개 영역에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또 “IT 엔지니어링 전담조직을 카카오 CEO 직할 부문으로 확대 편성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한편 향후 5년간 서비스 안정화 투자 재원을 지난 5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카카오가 내놓은 대책의 핵심은 데이터센터 다중화다. 한쪽에 화재가 발생해도 다른쪽에서 커버해 먹통 사태는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데이터센터 이중화는 '카카오 먹통 방지법'으로 불리는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개정안에 이미 포함된 부분이다. 카카오의 발표에 앞서 지난 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여야 합의로 의결된 사안이다.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개정안은 카카오가 포함되는 부가통신사업자에게 데이터센터 이중화 조치를 의무화하고 재난관리 기본계획을 세우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법에 따라 앞으로 카카오는 데이터센터 이중화를 해야 한다.

이와 별도로 카카오 먹통 사태에 대한 보상안은 아직까지 결정되지 않았다. 카카오는 먹통 사태 피해 보상 및 지원을 위해 외부전문가,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1015피해지원협의체'를 구성하고 보상안을 논의 중이다. 

현재 카카오 유료서비스는 물론 무료서비스 이용자들도 먹통 사태로 인한 시간적·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며 보상을 요구하고 있어 보상안 마련이 쉽지 않은 상태다. 카카오와 협의체는 피해유형 업종 유·무료 이용자 등 보상 범위를 두고 고심 중이다.

이에 앞서 시민단체 서민민생대책위원회는 개인 5명과 함께 카카오 법인을 상대로 총 600만원의 손해배상금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