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리캔버스, 1코노미뉴스/디자인=안지호 기자
사진=미리캔버스, 1코노미뉴스/디자인=안지호 기자

농촌 지역 인구 감소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1인 가구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통계청 2022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인구는 216만6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만9900가구(2.3%)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은 4.9% 증가했지만 나머지 연령층은 모두 감소했다. 

청년층은 물론 중장년층에서도 인구가 줄면서 고령층만 농촌에 남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을 보면 49.8%로 전년 동기 대비 3.0%포인트나 늘었다. 우리나라 고령인구 비율이 18.0%인 것과 비교하면 압도적인 수치다. 

심각한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나타나면서 1인 가구 지원을 위한 촘촘한 대책 마련이 촉구된다. 

고령화와 동시에 1인 가구 역시 증가해서다. 가구원수별 농가 인구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농가는 2인 가구가 58만8000가구로 전체의 57.5%를 차지했다. 

자녀가 없는 부부 단위 구성원이 대부분인 셈이다. 

그런데 2인 가구를 제외하면 1인 가구가 21.7%나 된다. 농가 10집 중 2집은 1인 가구인 셈이다. 

전년 대비로 보면 1인 가구는 1.8%나 증가했다. 2인 가구는 0.4% 증가하며 보합 수준에 머물렀다. 3인 가구 이상은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농촌 독고노인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다. 고령화에 따른 문제가 심각성을 더해가지만, 대책 마련은 더디다. 

지자체의 경우 인구수 대비 예산이 배정되면서 농어촌 지역 독거노인에 대한 복지사각지대가 매년 확대되고 있다. 그동안 청년회 등 주민자치회가 일부 기능을 대체해 왔지만, 이 마저도 인구 감소로 역할이 축소되는 추세다. 

농촌형 마을 공동체 지원체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1인 가구 귀농·귀촌 지원 확대, 지역의 배타적 인식 변화 유도, 독거노인 돌봄 체계 변화 등이 요구된다. 

경기도 포천에 거주하는 임재인(41)씨는 "마을에 40대는 내가 유일하다. 농촌 분위기가 바뀌어야 하는데, 어렵다"며 "외지인을 배척하고 텃세 부리는 게 지금도 있다. 마을발전기금을 뜯어내고 변화를 두려워하는 하다보니, 인구 유입 자체가 안된다"고 지적했다. 

대전에 거주하는 박철형(65)씨는 "지역에 초등학생은 물론 대학생도 없다. 노부부 둘이 살다가 한 명이 돌아가시면 그대로 혼자 거주하시고, 그마저도 돌아가시면 빈집만 남는 게 현실"이라며 "젊은 사람들이 귀농할 수 있게 확실한 유입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농촌 빈집은 6만6000가구에 달한다. 농촌 빈집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지방 소멸 위험 지역도 늘고 있다. 지난 2월 기준 228개 기초지자체(시·군·구) 중 118곳(51.8%)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지난해(113곳)보다 5곳 늘면서, 50%를 넘었다. 

정재훈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는 "가족 개념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농촌도 마찬가지다. 4인 가구 구성은 보기 드물어졌다. 인구 사회 변화로 인한 농촌 몰락은 예견된 수순"이라며 "1인 가구 유입 지원, 고령층 복지정책 개선 등이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