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리캔버스
사진=미리캔버스

 

대한민국이 늙어간다. 불과 3년 후면 한국의 노인인구는 천만명을 돌파한다. 늘어나는 노인 문제가 심각해지는 이유다. 여기에 한국의 65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가운데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6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여름호'에 따르면 한국의 2019년 기준 6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집계됐다.

OECD 국가 중 상대적 빈곤율이 40%를 넘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2018년 기준으로 호주(2018년 기준·23.7%), 미국(23.0%), 일본(2018년 기준·20.0%)은 20%대에 불과했다.

상대적 빈곤율이란 중위 소득 50% 이하에 속하는 인구 비율을 의미한다. 66세 이상 고령층 10명 중 4명은 중위 소득 50% 이하라는 소리다.

문제는 가족들로 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는 고령자도 늘고 있다. 이는 고령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2021년 기준 66세 이상 고령자 중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은 65.0%였다. 10년 전과 비교해 13.4%포인트 높아졌다.

정부·사회단체 지원도 17.2%로 8.1%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자녀·친척지원은 17.8%로 21.4%포인트 낮아졌다.

전기(65∼74세)와 후기(75세 이상)로 나눠보면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은 전기 고령자(78.7%)가 후기 고령자(46.0%)보다 훨씬 높았다.

후기 고령자는 가족·자녀 지원(29.4%), 정부·사회단체 지원(24.6%)으로 생활하는 비중이 전기 고령자보다 높았다. 경제적 의존도가 전기고령자에 비해 높은 것이다.

2021년 기준 노후 준비를 하고 있거나 이미 준비된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은 56.7%였다.

전기 고령자의 66.8%, 후기 고령자의 42.7%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노후 준비를 하는 고령자의 준비 방법은 공적연금(59.6%)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왔다.  공적연금은 전기 고령자(62.6%)와 후기 고령자(52.9%) 모두 노후 준비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다고 응답한 65세 이상 고령자는 43.3%로, 준비할 능력이 부족해서(59.1%)라는 사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김영재 평택대학교 겸임교수는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활비 마련이나 노후 준비에 대한 기초적 마련은 물론, 정부와 사회가 나서 노후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