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안지호 기자
사진=안지호 기자

1인 가구가 갈수록 증가 추세지만 여전히 관련 정책은 한 발짝 물러서 있다. 그 바로 예가 지자체의 관련 전담 팀 구성이다. 수치상으로 늘어나는 것은 알고 있지만 막상 기본적인 전담 팀조차 갖추지 못한 지방 자치단체가 많다. 

좀 더 세밀하게 세대별 1인 가구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복지 정책 담당이 떠안기 일쑤다. 

얼마 전 한 지방 자치 단체 고령 1인 가구의 고독사에 대한 질의를 하기 위해 담당자를 물색하다 결국 복지과 담당관과 통화했던 사례가 대표적이다. 

매년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고독사 문제도 거론되고 있지만 정작 이를 수습하고 맡아줄 담당자는 없다. 

오죽하면 기자들 사이에서는 애초부터 가족문화과나 복지과를 찾는 편이 나을 것이란 소리도 나온다.

문제는 비단 지방 자치단체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수도권 자치구도 별반 다르지 않다. 심지어 1인 가구 전담팀이 꾸려졌지만 내부에서 조차 갈팡질팡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담당관조차도 1인 가구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정책 마련은 둘째 치고서라도 관련 응대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다행스러운 점은 폭증하는 1인 가구에 대한 지원책을 늘려야 한다는 기본 틀은 갖고 있다. 

지원책을 늘리는 자치구가 생겨나고 있고 1인 가구 정책에 반영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자 공모를 진행하는 자치구도 생겨난다. 

정책을 마련하고 알려야 할 지자체가 우왕좌왕인 모습에 정작 1인 가구 조차도 이렇다 할 지원을 모르는 경우가 태반사다. 결국 그 피해는 고스란히 1인 가구의 몫으로 돌아간다. 

부산에서 직장으로 인해 상경한 1인 가구 김주영(28.중구)씨는 기자가 묻는 몇 가지 1인 가구 정책에 "그게 뭐냐"라고 답문했다. 

본인이 1인 가구이지만 관련 구에서 어떤 정책이 나오는지 알 지 못한다는 게 돌아온 답변이다. 

김 씨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1인 가구가 정작 마련된 정책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이유가 있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1인 가구인 당사자가 알고 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정말 1인 가구에 필요한 정책들이 쏟아질 것이다. [1코노미뉴스=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