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후 누적 4300건 이상 안전사고 예방
예산 한계로 서울 내 단 15개소만 운영 중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에서 안심마을보안관이 저녁시간 어두운 골목을 순찰하고 있다./사진=1코노미뉴스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에서 안심마을보안관이 저녁시간 어두운 골목을 순찰하고 있다./사진=1코노미뉴스

최근 '묻지마 범죄'가 기승을 부리면서 '안전대책'이 중요해졌다. 국민의 불안감 확산은 물론 추가 범죄 예방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 요구가 커졌다. 즉각적이고, 실효성 높은 방안으로는 순찰활동 확대가 꼽힌다. 이에  서울시가 1인 가구 정책으로 시행 중인 '안심마을보안관'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안심마을보안관은 본격 시행 후 누적 4300건 이상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높은 치안만족도를 이어가고 있다. 예산 문제로 국소적인 수준으로 운영됐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목을 끄는 성과다. 

24일 [1코노미뉴스]가 서울시에 확인한 결과 안심마을보안관 사업은 2021년 시범사업 2개월 만에 160건의 생활안전사고를 예방했다. 이어 본 사업이 진행된 2022년 9개월간 2500여건의 실적을 냈다. 올해도 4월부터 7월까지 3개월 만에 1691건의 생활안전사고를 예방했다. 

지난해 사업 추진 후 이뤄진 설문조사에서도 사업만족도 92.3%, 범죄예방 도움 95.3%로 호평을 받았다. 

일례로 안심마을보안관이 순찰 중 주취자가 오토바이를 파손하고 행인을 위협하는 상황을 발견해 경찰에 신고하면서 피의자 검거를 도운 바 있다. 또 다가구 주택 가스누출을 발견해 신고한 덕에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심마을보안관 사업은 서울 전역에서 시행되고 있지는 않다. 서울시의회가 반대하면서 사업초기 예산이 60% 넘게 삭감된 탓이다. 시의회는 중복 사업에 따른 예산 낭비와 순찰활동의 '경비법' 위반 소지를 이유로 반대해 왔다.

결과적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단 15개소만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안심마을보안관이 운영되는 곳은 ▲광진구 화양동 ▲동대문구 제기동 ▲중랑구 면목본동 ▲성북구 동선동 ▲강북구 미아동 ▲도봉구 방학2동 ▲서대문구 신촌동 ▲마포구 서교동 ▲강서구 화곡1·8동 ▲구로구 구로2동 ▲강남구 논현1동 ▲용산구 보광동 ▲노원구 상계1동 ▲금천구 가산동 ▲영등포구 영등포동이다. 

최근 강력 사고가 연이어 발생한 관악구는 제외됐다. 지난해에는 관악구 서원동 일대에서 활동을 했지만 올해는 빠졌다.

관악구민들은 이에 대해 아쉽다는 반응이다. 

관악구 봉천동에 거주하는 이 모(37) 씨는 "아무래도 요즘 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 평소에도 퇴근할 때는 CCTV가 있는 큰길로 다니지만, 범죄가 일어나고 나면 무슨 소용인가 싶다"며 "안심마을보안관에 대해 몰랐지만, 우리 동네에도 생기면 불안감이 덜할 것 같다"고 전했다.   

또 다른 거주자 최 모(42) 씨도 "지금 가장 불안감이 큰 지역이 관악구일텐데, 원래 계획에 없더라도 여기부터 지원을 해줘야 하지 않냐"며 "범죄율이 높은 곳은 인력을 더 투입해서 순찰활동을 늘리는 게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처럼 안전대책 확대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서울시의 안심마을보안관 사업 확대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서울시는 내년도 사업 예산으로 증액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는 25개 자치구에 최소 1곳씩은 안심마을보안관을 운영할 계획이다. 당초 서울시는 2026년까지 안심마을보안관을 51개소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현재는 1인 가구 밀집지역이나 안전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에 1개소당 4명의 안심마을보안관을 배치 중이다. 이들은 전직 군인, 경찰, 무도 유단자 등으로 구성됐으며 2인 1조로 심야시간대 주택가 골목 곳곳을 순찰한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