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새 세 집 건너 한 집이 1인 가구인 시대가 됐다. 2022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21년 서울시 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36.8%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1인 가구는 이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구 형태로 자리매김했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24개 1인가구지원센터에서 교육, 여가, 상담, 사회적 관계망 개선 등 다양한 1인 가구 지원 사업을 펼쳤다. 총 3만2825명의 시민이 1인 가구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1640건의 1인 가구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1인 가구는 만족감을 느꼈을까. [1코노미뉴스]는 서울시와 함께 '1인 가구 지원사업 우수 수기 공모전'에 참가한 1인 가구의 체험담을 <1인 가구 스토리> 코너를 통해 장기 연재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은평구 청년 1인 가구 A씨= 월급은 오를 생각을 하지 않는데, 물가는 너무도 빠르게 올랐다. 한정된 생활비를 손에 꽉 쥐고, 동네 슈퍼든 대형 마트든 어디를 가든 내 손에 들려 나의 방으로 초청되는 것들은 '먹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이다. 당장 이것들이 없으면 내가 배고픔에 허덕이게 될지 모를 것들만 사 올 수밖에 없었다. 먹고 싶은 것을 먹고, 배불리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런 충동을 이기지 못하면 월말의 내가, 월급을 받은 직후의 나를 비난할 것이 자명했다. 

"야, 내가 돈 이렇게 막 쓰지 말랬지! 이제 굶자!"

돈의 문제도 있었지만 힘들었던 것은 또 하나가 있었다. '나 혼자만 이렇게 먹을 것으로 고민하고 전전긍긍하고 있나?' 하는 생각이었다. 다들 어떻게 먹고 사는지 궁금하기도 했고, 나처럼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으면 각자 나름의 노하우를 나누고 생각도 공유하고,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고 싶은 마음도 항상 마음 한 켠에 가지고 있었다. 

그러던 때, 서울청년센터 은평오랑에서 1인 가구 먹거리 지원사업 '모두의 식사'를 진행한다는 것을 알게됐다.처음 이 지원사업의 이름을 들었을 때, 중세 유럽의 식사처럼 기다란 식탁에 다같이 모여서 식사를 하는 모임인 줄 알았다. 물론, 아니었다. 서울시와 CJ 제일제당이 함께, 1인 가구 청년들을 위하여 '착한 먹거리'를 지원해주는 사업이었다. 다시 말해, 1인 가구에게 제때 유통되지 못한 먹거리나 식자재, 채소 등을 나눠줌으로써 1인 가구의 식생활 개선과 1인 가구 간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었다.

유튜브 영상을 보고 1인 가구 먹거리 지원사업 공지가 뜨는 오픈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었다. 유튜브 영상의 내용은, 지금 서울청년센터 은평오랑과 서울시, CJ가 제공하는 '착한 먹거리'는 문제가 있어서 지원하는 것이 아님과 동시에 채소의 경우, 단지 외양이 상품성이 있지 않은 것뿐이라는 것도 알려주었다. 안내 영상을 보고, 들어간 서울청년센터 은평오랑 모두의 식사 오픈채팅방. 이 채팅방을 통해 '모두의 식사' 참여 관련 공지와 질의 응답이 이루어졌다. 수많은 1인 가구 청년들이 들어왔고, 그 숫자가 600명이 넘을 정도로 많은 것만으로도 나는 '아, 나만 혼자 사는게 아니고, 나만 먹거리로 고민하고 있는 것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 '모두의 식사'에 참여한 날을 잊을 수가 없다. 만두, 동그랑땡, 돈가스 등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식자재들과 양파나 당근같이 신선한 채소들이 제공됐다. 그리고 상시 수령이 가능한 햇반도 받아올 수 있어, 정말 나의 ‘식사’를 제공해 주는 느낌이었다. 

처음 방문했을 때 받은 하얗고 큰 에코백에 식자재와 햇반을 잔뜩 담아 오는 길, 어깨는 무거웠지만 마음은 든든했다. 그리고 이 마음의 든든함이 나의 복부도 든든하게 해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서울청년센터 은평오랑에서 받아온 식자재로 차린 밥상은 풍성했다. 나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결코 채울 수 없는 다채로움이 밥상 위에 펼쳐졌다. 평소 요리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다양한 식자재를 써서 만든 반찬들은 하루를 보내고 난 뒤 나를 위로하는 시간을 주었다. 사람이 먹는 것이 이렇게나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낄 수 있었다.

1인 가구 먹거리 지원사업을 통해 느낀 것은 또 하나가 있었다. 생각해보면, 이것이 '먹거리'자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 느낀 점은 바로 '서울시는 1인 가구가 먹는 것까지도 케어하는구나'하는 감각이었다. 서울에 1인 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뉴스나 신문을 통해서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1인 가구에 대한 지원들은 어떤 이슈가 발생하지 않으면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병원에 가려는데 혼자 갈 수 없거나, 택배를 시켰는데 혼자 살아 보관이 어렵거나 하는 다소간 일상에서 떨어진 일들이 있을 때에만, 서울시는 1인 가구를 정책 범위 안에 포함시키는구나 하는 생각을 평소 갖고 있었다.

 

하지만 아니었다. 먹거리, 사람이라면 누구나 먹어야 살아갈 수 있는데 이 '먹거리'까지 정책 대상에 포괄시킨다는 것은 1인 가구에 대한 이해가 얕으면 결코 도입할 수 없는 정책이었다. 굶주리는 1인 가구는 없도록 하는 간절한 서울시의 바람이 느껴질 수 있었다. 

아직 1인 가구 먹거리 지원사업은, 특정 구에서만 진행되고 있어 한계는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서울은 크고 넓고, 그만큼 많은 1인 가구가 살고, 그렇기에 모든 1인 가구에게 먹거리 지원을 할 수는 없는 것 또한 알고 있다. 하지만 이 지원사업이 성공적인 1인 가구 지원이라는 것이 증명되고, 또 CJ 뿐만 아니라 식자재를 만들거나 유통하는 기업들이 함께 참여하여 버려지는 식자재를 줄임으로써 자원을 순환하는 날이 올 것이라는 가능성을 품게 되었다. 또 상품성만 없을 뿐이지 맛과 영양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 채소들이 1인 가구의 식탁에 오를 수 있다면, 농사를 짓기 위해 노력한 농부들의 땀이 1인 가구가 더욱 힘내서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것도 예상할 수 있었다.

서울은 넓다. 그리고 1인 가구는 많고, 앞으로 더욱 많아질 것이다. 1인 가구의 삶이란 나의 삶이자, 내 옆에 있는 사람의 삶이고, 우리 모두의 삶이 될 수도 있다. 언젠가 사람은 누구나 혼자가 된다. 혼자가 되었을 때, 배고픔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서울청년센터 은평오랑 1인 가구 먹거리 지원사업'이 아닐까 한다. 이 지원사업을 통해 나는, 배고픔에서 해방되었고 건강을 찾았고, 한 끼의 식사를 즐길 수 있게됐다.

그리고, 혼자의 식사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우리 '모두의 식사'라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혼자라서 외롭기만 한 것이 아니라, 혼자라서 또 다른 혼자를 만나, 혼자가 갖고 있는 고민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 공유하고, 그것들을 통해 내일을 살 수 있는 힘을 얻게 됨을 깨닫게 되었다. 

혼자의 식사가, 모두의 식사가 됐다. 이건 다 서울청년센터 은평오랑 1인 가구 모두의 식사 프로그램 덕분이다. 혼자라도, 혼자라서 행복한 서울이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