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들을 위한 치매환자 발굴과 돌봄 서비스 정책 강화가 요구된다.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심각한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들을 위한 치매환자 발굴과 돌봄 서비스 정책 강화가 요구된다.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고령화와 함께 치매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독거노인 치매환자 발굴 및 돌봄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치매환자에 대해 직접 책임을 강조하며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정책에 사각지대가 있어서다. 

22일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올해 60세 이상 치매환자 수는 102만4926명, 65세 이상은 99만8833명을 기록했다. 또 전체 노인인구 수 대비 치매환자 유병률은 10.51%에 달한다.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환자인 셈이다.

그야말로 치매환자 100만명시대다. 치매환자에 대한 관리 및 지원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통계청 자료를 보면 치매에 의한 사망자 수가 지난해 1만4136명으로 전년 대비 36.6%나 증가했다. 치매 사망률은 27.6명으로 7.4명 늘었다. 

고령층 사망원인의 주 요인으로 떠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정부가 치매 극복을 위해 각종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치매로 인한 사망자는 오히려 늘었다는 점에서 정책 개선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2011년 8월 치매관리법을 제정하고 5년 단위의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시행 중이다. 현재는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1~2025년) 기간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장기 정책을 통해 치매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예방책이 아니며 예산적 한계도 분명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1인 가구 증가를 반영하지 못해 독거노인 치매환자에 대한 대응이 부실하다고 꼬집고 있다. 

실제로 현재 전체 노인인구의 약 22%가 1인 가구이지만, 2050년에는 2집 중 1집은 독거노인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1인 가구 수 자체가 늘어나고 있고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사별인구 증가와 이혼인구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독거노인 치매환자 역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도 치매환자 중 30~40%는 독거노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치매노인환자에 대한 대책 중 독거노인 발굴 및 돌봄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 

가족의 돌봄을 받지 못하는 경우 치매까지 걸렸다면 홀로 고립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다. 이런 경우 발굴이 이뤄지면 치매안심센터나 주간보호센터에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턱없이 부족하다. 

주간보호센터의 경우 경증까지는 돌봄이 가능하지만 중증으로 넘어가면 사실상 역할을 하기 힘들다. 

치매안심센터는 지역보건소 단위로 설치된 곳으로, 상담과 조기검진 사업, 의료기관 연계, 증상 정도에 따른 사례 관리,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뿐이다. 

심지어 독거노인 치매환자는 각종 범죄에도 노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범죄는 매년 끊이지 않고 있다. 일례로 간병인이 치매에 걸린 70대 독거노인의 재산을 가로채거나, 마치 친인척인 것처럼 독거노인의 집에 머물며 재산을 갈취하고 학대를 하는 범죄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문제는 정책적으로 독거노인 치매환자를 위한 근본적인 안전망 구축, 보호, 돌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설은 없다는 점이다. 

해외의 경우 지역사회, 민간단체 등이 정부, 지자체 등과 연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일본은 치매 당사자의 사회 참여도 이끌어내고 있다. 

인천의 한 주간보호센터 관계자는 "지역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되면 주간보호센터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이 역시 보호자가 직접 신청을 해야하고, 현실적으로 중증환자는 서비스가 어렵다"며 "보호자가 전혀 없는 독거노인 치매환자는 사각지대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윤보라 건양대학교 교수는 보고서를 통해 "치매환자는 일반 노인보다 주부양자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태임에도 독거노인 비율이 높다. 이들에게는 정기적, 비정기적 돌봄과 생활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