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삶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정신 건강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삶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정신 건강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다인 가구 대비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1인 가구의 마음건강 중요도가 강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9일부터 오는 20일까지 '2023년 정신건강 홍보주간'으로 지정했다. 이 기간동안 정신건강 정책에 대한 인프라 확대로 국민의 마음 건강을 지원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지난해 처음으로 국내 우울증 환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돼 정신건강 지원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우울증 진료 현황./자료=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사진 캡쳐
지난해 우울증 진료 현황./자료=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사진 캡쳐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받은 '우울증 진료인원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총 430만 407명이다. 2018년 75만 2976명에서 2022년 100만 744명으로 32.9%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대 진료인원이 18만 5942명(18.6%)로 가장 많았고, 30대 16만 108명(16%), 40대 14만 2086명(14.2%)순으로 청년층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이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대비 삶의 질이 낮고 사회적 고립, 외로움,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 위험도가 높아서다.

전문가들은 1인 가구가 겪는 고립문제는 사회의 책임으로 정책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1인 가구 유형 분석과 행복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보면 혼자 사는 사람들의 취약한 사회적 연결망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의 위험성은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위협해 부정적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고 파악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1인 가구는 홀로 생계를 꾸려가는 특성으로 인해 은퇴, 실업, 고령 등 생애주기에 따른 근로소득 감소에 대한 불안과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7개(젊은 미혼 남성·여성, 중년이혼 남성·여성, 기러기형 중년층, 노년 사별 남성·여성)로 나눈 군집별 1인 가구의 행복과 삶의 만족도 수준의 차이를 살펴봤다. 

그중 젊은 미혼 남성, 여성의 경우 평균 소득보다 높은 편이며 전반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년 이혼 남성의 경우 소득은 높지만 전반적인 행복감, 생활수준, 대인관계, 안전감 등 만족도 부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노년 사별 남성, 여성의 경우에도 전반적인 행복감, 건강 만족도 등이 낮았다.

1인 가구 군집별 행복과 만족도 전체평균 수준 비교./자료=국회미래연구원 '1인 가구 유형 분석과 행복 제고를 위한 시사점' 자료 사진 캡쳐
1인 가구 군집별 행복과 만족도 전체평균 수준 비교./자료=국회미래연구원 '1인 가구 유형 분석과 행복 제고를 위한 시사점' 자료 사진 캡쳐

2022년 행복도조사와 비교했을 때 1인 가구의 행복도는 더욱 낮게 나타났다. 평균 행복감 점수 6.46점과 비교했을 때 1인 가구는 7개 유형(전반적 행복감, 생활수준, 건강, 대인관계, 안전감, 공동체소속감)모두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민보경 삶의질그룹장은 "혼자 사는 사람들은 여럿이 사는 사람들보다 전반적 행복감, 영역별 만족도가 낮으며, 생활수준의 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다인 가구 대비 삶의 질, 정신건강이 낮은 1인 가구는 심리적으로 기댈 곳이 없다. 이는 은둔·고립, 자살, 고독사 등 심각한 사회 문제를 낳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심리적 돌봄을 시행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 및 인프라 역시 부족하다는 점이다.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정신건강복지센터는 현재까지 17개 광역센터와 247개 기초센터로 운영 중이다. 그중 전체 종사자 4563명 중 계약·기간제 인원이 3000명(66%)에 달했다. 정규 및 무기계약직은 1563명(34%)이었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간호사와 임상심리사 등은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사회서비스를 상담하는 직역이다. 이들은 대상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지만 기간제 비중이 커 실질적인 업무가 이뤄지기 힘들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센터별 업무 부담 편차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센터별 종사자는 17.2명, 종사자 1인당 사례관리자 수는 25.3명이다. 일부는 106명까지도 전담하는 경우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충분한 인프라 구축과 맞춤형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강승걸 인천자살예방센터 센터장은 "선진국에 비해 자살예방센터가 턱없이 부족하다. 일본의 23분의1에 불과하다. 독립형 자살예방센터 확대가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정창훈 한국다문화연구소 대표는 "1인 가구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가족정책 및 사회적 안전망을 재점검하고 집중적으로 늘어나는 청년층 여성 1인 가구, 저소득층 및 노인 1인 가구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맞춤형 지원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장은 "센터에서 지원하는 대상자 중 중장년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고독사 직전까지 가신 분들을 많이 만난다. 그분들 중 70%가 정신질환이 있다"면서 "사회적으로 정신적으로 고립된 중장년에 대한 교육, 소모임이나 공동체 활동에 대한 지원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