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리미엄 고시원을 찾는 청년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최근 프리미엄 고시원을 찾는 청년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30대 1인 가구 최 모(직장인) 씨는 3개월째 서울 강남 일대 '프리미엄 고시원'에 거주 중이다. 최 씨가 거주하는 고시원은 보증금 10만원에 월 80만원이다. 방 안에 개인화장실과 세탁기가 있고 지하철역도 가까워 출퇴근에 용이하다. 공동부엌을 사용해야 하지만 고시원에서 밥 먹을 일이 거의 없고, 크게 불편하다고 느끼지도 않아 최 씨는 만족하며 거주 중이다. 다만 최 씨에게도 월세 80만원은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그럼에도 그가 고시원에 거주하는 이유는 당장 목돈이 없어서다. 

최 씨는 "연초에 영끌로 빚더미에 앉았다. 월급에 차압이 들어갈 상황까지 와서 직장에서 잘릴까봐 전세금을 빼서 빚부터 갚았다"며 "보증금 없이 살 곳을 구하려니 고시원뿐이었다. 최소한의 삶의 질을 찾고자 스스로 생각한 마지노선이 이곳이다. 물론 오래 살 곳은 못 된다고 생각하고 내년 초에는 이사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말을 향해가면서 고금리와 영끌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최 씨처럼 자금력이 부족한 20·30대 청년 1인 가구가 경제적 한계에 부딪히는 일이 늘고 있다.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20대 청년층의 19개 국내 은행 신용대출 연체율은 1.4%로 전년 대비 2배 증가했다. 30대(0.6%)도 마찬가지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역시 20·30대에서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20대는 0.41%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었고, 30대도 0.17%를 기록했다. 

여기에 고금리로 신용대출 차주가 줄어든 가운데 20대의 경우 69만1948명으로 전년 대비 13.3%나 증가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검토보고서에서도 심각성은 드러난다. 지난해 한국장학재단이 학자금 대출 가운데 '회수 불능' 처리한 금액만 274억 8900만원에 달한다. 2018년(47억3000만원)과 비교하면 무려 5.8배 증가한 수치다. 

심지어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한 사유로 개인회생과 파산이 꼽혔다. 지난해 개인회생으로 상환 면책을 받은 인원은 전체의 72.3%인 3454명이다. 파산 면책은 20.0%인 954명이다. 

문제는 고금리 상황이 갈수록 심화하는 점이다. 지난 15일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10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97%로 전월 대비 0.15%포인트 상승했다. 두 달 연속 상승하면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 시중은행은 코픽스와 연동해 대출금리를 조정하는 만큼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올랐다. 신용대출의 경우 은행채 6개월, 1년물 금리가 지난 14일 4.107%, 4.135%로 두 달 전보다 각각 0.198%포인트, 0.141%포인트 높아졌다. 

전월세시장 역시 부담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전국 주택종합 전셋값은 0.36% 올라 전월 대비 상승 폭이 커졌다. 수도권, 지방 모두 올랐다. 월세도 0.14%로 오름세가 거세졌다. 월세의 경우 연중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연중 이어진 경제적 부담에 결국 적금, 보증금 등을 빼 빚을 갚는 청년 1인 가구도 늘어나는 분위기다.

30대 1인 가구 이 모 씨는 "보증금 1000만원에 월 70만원 오피스텔에 살다가 방을 뺐다. 지금은 보증금 10만원 월 50만원대 프리미엄 고시원에 산다. 카드론 이자가 감당이 안 돼서 어쩔 수 없이 이사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1인 가구 노 모 씨는 "난 섣불리 창업했다가 망한 케이스다. 대출 무서운 걸 지금이라도 배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빚도 거의 갚았고, 내년에는 이곳에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청년 1인 가구가 과도한 차입으로 취약차주로 변하고, 불안한 주거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한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은 "청년층의 신용이 하락하고 경제활동에 제약이 생기는 것은 우리 사회 전체의 손실로 이어진다. 단기적으로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해 기회를 주고, 중장기적으로는 합리적 수준에서 부채를 보유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