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전체 인구 40% '노인'
2072년 인구수 3622만

심각한 인구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구절벽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사진=미리캔버스
심각한 인구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구절벽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사진=미리캔버스

정부가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법을 찾지 못한 사이, '인구절벽' 심각성은 깊어지고 있다. 당장 가까운 미래인 2025년,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서고 반대로 청년인구는 1000만명 붕괴를 목전에 둘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2년 5167만명에서 2072년 3622만명으로 감소가 예상된다. 

고위 추계(높은 출산율-기대수명-국제순이동) 가정 시에도 2072년 인구는 4282만명으로 1990년 수준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인구수는 노동력으로 볼 수 있어 국가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규모의 경제로 급격히 성장한 인도(14억2863만명), 중국(14억2567만명)만 봐도 드러난다. 현시점에서 인구수 3000만명대 국가는 우크라이나,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앙골라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단순히 인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저출산, 고령화가 동시에 벌어지면서 노인인구 비중이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5년 1000만명을 넘어 2050년 1891만명, 2072년 1727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전체 인구 대비 2025년 20%에서 2050년 40.1%, 2072년 47.7%로 증가가 예상된다. 

국내 인구 2명 중 1명은 노인이 되는 셈이다.

반대로 청년인구는 2022년 1061만명에서 2025년 1025만명, 2050년 511만명, 2072년 450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2072년에는 청년보다 노인이 4배가량 많은 사회가 된다. 글로벌 인구·사회학 석학들이 이대로라면 한국은 망한다고 경고하는 이유다. 

실제로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인 총부양비를 보면 2022년 40.6명에서 2058년에 100명을 넘어선다. 2072년에는 118.5명 수준으로 증가한다. 

OECD 국가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총부양비는 2022년 가장 낮은 수준에서 2072년에는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급변하게 된다. 저출산 대책 혁신으로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편 저출산, 고령화에 대비해 노후 준비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는 국민연금이 노후 최저생계비를 조차 보전해 주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도 노후 대비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높다. 이렇다 보니 직접 소득을 창출하기 위해 일자리에 대한 수요가 높고, 반대로 노인 삶의 질은 하락하는 형국이다. 

앞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 적정 생활비는 월 평균 369만원이다. 그러나 노후 자금으로 조달 가능한 금액은 평균 212만원이다. 

또 노후 생활비 조달 방법으로 86.8%가 국민연금을 꼽았다. 그러나 현행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42.5%에 불과하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