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연이은 취업난, 사회적 고립을 호소하는 청년이 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해 응급실을 방문하는 자해·자살 시도자 절반 이상이 10대~30대 청년층으로 나타났다.

3일 국립중앙의료원과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최근 발간한 '2021-2022 응급실 자해·자살 시도자 내원 현황'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응급실 이용자 769만4472건 중 자해·자살 시도자 4만3268건이었다. 이중 남성은 1만5675건, 여성은 2만 7593건으로 여성이 더 많았다. 전체 응급실 이용자 중 스스로 신체를 손상하거나 극단적 선택 시도율은 0.56%로 집계됐다.

자해·자살 시도자는 2019년 4만건을 넘어선 4만2968건, 2020년 4만828건, 2021년 4만3674건에서 2022년 4만3268건으로 소폭 줄었다. 이는 인구 10만명 당 84.4명이 자해·자살을 시도했다.

연령대를 보면 20대가 1만2432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대가 7540건, 30대가 6071건 순이다. 이는 10대~30대 비중이 전체 시도자 수 중 60%에 달한다. 인구 10만 명당으로 봐도 20대에서 190.8건, 10대 160.5건, 30대 91.5건 순이다.

그중에서도 10대~20대 증가율이 심각하다. 10대는 2018년 인구 10만명당 95.0건에서 2022년 160.5건으로 최근 5년간 68.9%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20대는 127.6건에서 190.8건으로 49.5%늘은 것으로 집계돼 우려를 낳고 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인간관계 단절, 연이은 취업난을 호소하는 청년이 늘어난 것이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최근 청년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개인주의 성향과 경제적 빈곤, 사회적 고립은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통계청의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4.5%(750만 2000가구)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9세 이하 19.2%(144만 가구), 30대 17.3%(129만9000가구) 순으로 청년 1인 가구의 비중이 가장 크다.

청년들의 정신건강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 지속되자 정부에서도 대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말 자살률 50% 감축을 목표로 '정신건강 혁신방안'을 내놓은 정부는 ▲일상적 마음 돌봄 체계 구축 ▲정신응급대응 및 치료체계 재정비 ▲온전한 회복을 위한 복지서비스 혁신 ▲인식개선 및 정신건강 정책추진체계 정비 등 4대 핵심과제를 계획하고 있다.

당장 올해부터 정신건강 중·고 위험군 8만명에 대한 심리 상담서비스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자살예방 상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자살예방 상담전화를 기억하기 쉬운 '109'로 통합해 운영한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