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세 사기에 대한 공포감이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연립·다세대 '깡통전세'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소재 연립·다세대 매물 중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80% 이상 비중은 28%를 기록했다. 2022년 1분기(70%)와 비교하면 급감한 수치다. 

전세가율이 80%를 넘는 매물은 임대인이 집을 처분해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할 수 있어 '깡통전세'로 분류된다. 전세 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매물의 특징이기도 하다.   

2022년부터 전세 사기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하면서 이러한 매물 거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실제로 2022년 1분기 70%를 기록한 후 2022년 2·3분기 59%, 2022년 4분기 54%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어 2023년 1분기 46%, 2023년 2분기 33%, 2023년 3분기 31%, 2023년 4분기 28%로 줄었다. 

서울 자치구별 깡통전세 거래 비중을 보면 2023년 4분기 종로구·중구(50%), 관악구·강북구(47%), 강서구(46%), 서대문구(40%), 송파구·강동구(39%), 양천구·중랑구(35%), 영등포구(3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어 은평구(28%), 성북구(27%), 금천구(23%), 서초구(20%) 광진구(16%), 노원구·성동구(14%), 마포구·동작구·도봉구(13%), 강남구(11%), 구로구(5%), 용산구(4%) 순이었다.

종로구의 경우 유일하게 2022년 1분기 32%에서 2023년 4분기 50%로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거래 비중이 증가했다. 

장준혁 다방 마케팅실 실장은 "작년 한해 역전세난 우려가 확산되고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량이 크게 줄고,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라며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매물의 경우 여전히 10가구 중 3가구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전세 거래 시 해당 매물의 전세금 적정 여부, 체납 내역 등을 꼼꼼히 살펴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