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 빈곤 문제도 덩달아 심각한 수준이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 빈곤 문제도 덩달아 심각한 수준이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 수명은 83.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80.3년)을 웃돈다. 동시에 고령인구수도 빠르게 늘어, '백세시대'를 눈앞에 둔 국가다. 

이에 안정적 노후생활 확보가 향후 국가 경쟁력은 물론 삶의 질을 좌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그 어느 때보다 악화하고 있다. 무려 65세 인구 2명 중 1명은 '빈곤 노인'인 것으로 나타나서다.

사회보장위원회가 발표한 '한국 빈곤 노인의 특성'에 따르면 노인빈곤율(중위소득 50% 기준)은 시장소득 기준 63.1%, 가처분소득 기준 45.6%에 달한다. 

빈곤 노인의 시장소득은 연평균 135만원으로 심각한 수준이다. 국가개입을 통해 약 700만원 평균소득이 향상되면서 가처분소득이 804만원으로 오르지만 비빈곤노인(1797만원)과 비교하면 1000만원가량 차이가 난다. 

해외와 비교해도 심각하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OECD 회원국 평균보다 3배 가량 높다. 

전문가들은 노인 빈곤 문제를 사회적 부분과 경제적 부분에서 찾고 있다.

먼저 전통적 가족형태가 무너지면서, 사회적으로 노인 스스로가 생계를 책임지는 경향이 짙어졌다. 고령 1인 가구 증가도 이 중 하나다.  홀로 생활하는 고령 1인 가구 비중은 지난해 전체 노인 인구의 21.1%에 달한다. 

여기에 노후 대비 부족도 있다. 소득 절벽을 겪는 노인층이 늘면서 빈곤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0.9%가 '생계비 마련'을 꼽은 바 있다. 또 복지부가 조사한 2023년 폐지수집 노인 실태조사에서도 전국 4만2000여명의 노인이 폐지수집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하루 5.4시간, 1주 평균 6일을 일하고 월 15만9000원을 벌었다. 그럼에도 폐지를 줍는 이유는 생계비가 부족해서였다.

노인 빈곤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상황에서 노인인구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65세 고령인구 수는 2023년 943만6000명에서 올해 993만8000명, 2025년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에도 지속 증가해 2050년에는 1892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사회보장위원회는 오는 8일 '제1차 통계·행정데이터 전문위원회'를 연다. 이 자리에서는 사회보장 행정데이터의 활용사례를 공유하고 개선 과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는 전 국민의 약 20%를 표본으로 부처별로 분산된 자료를 모아 만든 통합데이터다. 2020년 자료를 시작으로 현재 2022년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