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는 양육·부양 부담이 다인가구에 비해 자유롭지만 주거 지출 비중은 높다. 주거비용이 소비의 약 18%를 차지한다. 4인 가구(8.8%)와 비교하면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이는 '전·월세살이'를 하는 1인 가구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또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주거 면적이 넓어지기도 하지만, 40대까지는 15~45㎡ 규모 수준의 원룸 또는 투룸 생활자가 대부분이다.

이들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조사한 자료를 보면 1인 가구의 절반 가까이는 현재 거주 중인 주택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고 더 좋은 주거지로 이사를 희망한다.

이처럼 소득의 20% 가까이를 주거비로 쓰고 있는 1인 가구, 그러면서 지금의 집보다 더 좋은 곳으로 이사를 희망하는 그들의 꿈은 이뤄질 수 있을까.

현재 임대차시장 움직임을 보면 어려워 보인다. 오히려 더 열악한 환경에 떠밀릴 가능성도 엿보인다.

정부가 다주택자를 옥좨, 집값을 안정화하겠다며 성급하게 내놓은 대책이 1인 가구의 터전인 전·월세시장까지 옭아멘 것이다.

실제로 보유세 부담이 커진 서울 강남에서는 전세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대신 높은 보증금에 월세를 얹은 반전세 계약이 급증하고 있다. 늘어난 세금을 세입자에게 전가한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수도권 일대로 확산되고 있다. 입주 2년차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2018년 대비 1억원 넘게 올랐고 월세 역시 연일 상승세다.

문제는 소득상향폭이 주거비 상승폭을 못 쫓아간다는 점이다. 결국 비정상적인 주거비 상승으로 1인 가구의 삶은 피폐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사회초년생 등 20·30대 청년층의 삶의 만족도 하락이 우려된다. 정부가 내놓은 청년주택 등은 공급물량이 턱없이 적어 사실상 '빛 좋은 개살구'다.

집값을 올리는 투기수요와 전쟁도, 서민의 주거안정도 좋지만 '1인 가구' 대부분이 거주하는 전·월세시장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