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1인 가구가 약 40% 육박, 세대수로는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3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1인 가구 세대수가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말 주민등록 세대 수는 2309만3108세대로, 전년보다 61만1642세대(2.72%) 증가해 처음으로 2300만세대를 넘어섰다. 이는 1인 가구 세대가 급증한 영향이다. 지난해 1인 가구 세대는 전년도보다 57만4741세대(6.77%) 늘어난 906만3362세대로, 처음으로 900만세대를 돌파했다. 전체 세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인 가구 세대가 39.2%로 가장 높았다.

1·2인 세대를 합친 비중은 전체 세대의 62.6%에 이른다. 1·2인 세대 비율은 2016년 56.5%에서 5년 사이 6.1%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4인 이상 세대 비율은 2016년 25.1%에서 지난해 20.0%로 떨어졌다. 1·2인 가구가 늘면서 평균 세대원 수는 2.24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평균 세대원 수는 2011년 2.53명에서 2014년 2.48명, 2017년 2.39명, 2019년 2.31명 등으로 줄곧 감소 추세다.

인구도 감소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2만여 명 줄어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자 수가 27만여 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데 비해 사망자는 30만 명을 넘으면서 인구가 자연 감소한 것. 작년 출생자는 27만5815명으로 전년도보다 10.65%(3만2882명)나 감소했다. 연간 출생자 수는 2017년 40만명 아래로 떨어진 뒤 3년 만에 30만명 선도 무너졌다.

이에 비해 지난해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3.10%(9269명) 증가한 30만7764명으로 출생자를 웃돌았다.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의 4분의 1 수준에 달해 고령화가 심화했으며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도 심해졌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통적 가족 개념의 변화가 세대 변동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주거·복지·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정책 방향이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서울시청사./사진=서울시
서울시청사./사진=서울시

◇지자체, 1인 가구 맞춤형 정책 마련 

1인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자 지자체도 발 벗고 나섰다. 대부분 1인 가구의 경제적 불안과 질병, 고독, 안전문제를 완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서울시는 2023년까지 '1인 가구를 위한 종합대책'을 시행한다. 갈수록 늘어나는 1인 가구를 인식한 결과다. 서울시는 올해 '1인 가구 지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센터에서는 가족상담사가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아울러 서울시는 1인 가구의 커뮤니티 활동과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열 예정이다.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 관계망'형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2월 1인 가구의 외로움 극복을 위한 연령대별 커뮤니티 구성, 밥상모임(소셜다이닝) 사업 등 맞춤형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청년 및 중장년 전용 연령대별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홀로 사는 노인 가구에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보급해 말벗, 음악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24시간 긴급 구조 시스템을 구축한다. 여성 1인 가구 대상으로는 IoT 범죄예방·대응 시스템을 구축한다.

전남도의회는 지난해 4월 도내 1인 가구의 종합적인 대책을 위한 조례를 제정했다. 도지사가 1인 가구 복지 증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광주시 북구는 2019년 7월부터 1인 가구의 고독사를 예방하는 '모바일 안심 돌봄서비스' 운영에 들어갔다. 일정 기간 고독사 위험가구 대상자들의 휴대폰에 통신 이력이 없으면 복지센터 담당자에게 알림이 가도록 한 서비스다. 

정재훈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는 "앞으로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꾸준히 증가 할 것"이라며 "1인 가구 증가는 자연스러운 사회 현상으로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