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플러스 2021년 봄호./사진=통계청 자료
통계플러스 2021년 봄호./사진=통계청 자료

 

결혼이 더이상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수치가 나왔다. 이는 청년 고용불황과 주거 불안이 겹치면서 자연스레 비혼을 택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소리다. 이들 미혼 남녀 절반 이상은 부모동거 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플러스 2021년 봄호'에 따르면 30대 미혼 인구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의 비율은 54.8%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개발원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20% 표본조사)를 바탕으로 20∼44세 미혼 인구의 세대 유형을 조사한 결과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30∼34세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이 57.4%, 35∼39세는 50.3%로 각각 집계됐다. 40∼44세의 경우 미혼 인구의 44.1%가 여전히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비중은 30~34세 25.8%, 35~39세 32.7%였다. 조사 대상(20∼44세) 미혼 인구를 통틀어 부모와 함께 사는 사람의 비율은 62.3%였다.

부모와 함께 사는 미혼 인구의 경우 42.1%가 비취업 상태로 집계됐다. 취업자 비율은 57.9%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독립적인 경제생활을 꾸려가는 청년 1인 가구는 취업자 비율이 74.6%로 부모 동거 가구보다 16.7%포인트 높았다. 혼자서 해결 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나타난 수치로 해석된다. 

주거 형태별로 보면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인구 가운데는 자가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70.7%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월세(14.8%), 전세(12.1%) 등 순이었다. 이와 반면 미혼 1인 가구는 59.3%가 월세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가에 거주하는 경우는 11.6%에 불과했다.

결혼에 대한 가치관도 달라지고 있다.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8년 조사 기준으로 30∼44세 미혼 여성 가운데 61.6%는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했다.

이는 남성(45.9%)의 응답 비율을 15.7%포인트 웃도는 수치다. '결혼을 하지 않는 게 낫다'고 응답한 여성 비율도 15.5%로 남성(6.4%)보다 높았다.

특히 여성의 경우 전문직이거나 고학력일수록 미혼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혼 여성들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는 '본인의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해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23.4%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는 '결혼보다 내가 하는 일에 더 충실하고 싶어서'가 19.3%, '결혼할 생각이 없어서'가 12.4%를 각각 차지했다. 미혼 남성 역시 '본인의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해서'가 18.4%로 비혼 이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미혼이 늘어날수록 1인 가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여자대학교 정재훈 교수는 "청년층 고용 불황이 지속되고 주택 비용이 상승하는 가운데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 세대에게서 경제적·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는 '캥거루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1인 가구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혼이 잠재적인 1인 가구 증가에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상명대학교 김대종 교수는 "최근 결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청년층 비혼인구가 크게 늘었다"라며 "사회적인 구조로 변화에 따라 1인 가구는 점점 더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어 "비혼은 곧 잠재적 1인 가구로 볼 수 있다"면서 "1인 가구에 대한 사회적인 관점이 바로 정립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