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정 기자
김미정 기자

부산의 한 오피스텔에서 지난 17일 홀로 살던 70대 남성이 고독사했다. 경찰조사결과 수년 전부터 오피스텔에서 생활해온 그는 이웃과 전혀 교류하지 않았다. 숨지기 열흘 전부터 외출을 하지 않았고 보름 전부터는 수도도 사용하지 않았지만 아무도 그의 죽음을 알지 못했다. 자기만의 고도(孤島)에 갇혀 혼자 살다 홀로 죽음을 맞이한 셈이다. 

고독사는 사회적으로 고립돼 살아가다가 마지막 죽음에서 홀로 지내다 죽는 경우를 말한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사회와 단절된 채 홀로 지내다가 생을 마감하는 죽음이 이제 예사가 돼 버렸다. 고령 1인 가구는 물론 중장년과 청년 고독사까지 그 범위도 점차 넓어지고 있다. 이런 고독사가 새삼스럽지 않은 이유는 가까운 일본에서 찾을 수 있다. 일본의 사례가 곧 미래 우리 사회와 결부 된다는 점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가족개념이 무너지면서 고독사가 초고령사회인 일본이 걸어온 길을 따라가는 모습이다. 

우리보다 앞서 고독사 문제에 국가적 대응에 나서고 있는 일본과 영국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영국에서는 '고독은 국가가 나서서 대처해야 할 사회 문제'라며  '고독부'를 신설하고 일본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더욱 심해지는 고립 문제를 막기 위해 '고립·고독 대책 담당실'을 마련해 국가 차원의 대응에 나서고 있다. 외로움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사회적 질병으로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2011년 3만2000명의 독거노인이 고독사로 세상을 떠났다. 한국은 그 같은 통계가 없어 정확한 실태 조차 파악하기 어렵다. 그나마 고독사로 생을 마감하는 이들이 늘면서 조사에 들어섰는데 그 수치가 정확하지 않다. 지난해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일부 고독사로 추정할 수 있는 무연고 사망자는 지난해 2880명으로 5년여 만에 58%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50대 무연고 사망자는 418명에서 623명, 40대는 190명에서 256명으로 증가했다. 더는 수면위로 떠오른 고독사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정부도 늘어나는 고독사를 파악하고 대책 마련을 위해 올 상반기 통계조사에 들어간다. 이번 통계 개발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통과돼 오는 4월 시행된 데 따른 것이다. 복지부는 제정안에 따라 5년마다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지방자체단체는 이에 따른 연차별 계획을 수립해 고독사 예방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뒤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앞으로 정부가 보다적극적으로 나서서 고독사 예방과 실태조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길 바란다. 고독사 더이상 남의 얘기 아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