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자율과 책임 중심의 새로운 재택치료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달 말 최대 17만명 확진자 발생이 예상되는데 따른 방안책이다.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 역시 개편된 재택치료에 포함되자 우려의 목소리가 새어 나온다. 

재택치료 환자는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 환자로 분류하고 집중관리군 환자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집중관리군은 60세 이상과 50세 이상 고위험, 기저질환자가 포함된다. 집중관리군은 하루 2회 유선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무증상과 경증 환자인 일반관리군은 하루 1회 모니터링하던 것에서 정기 모니터링을 없애기로 했다. 필요에 따라 비대면 진료와 상담센터 상담으로 관리한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고령자들과 의료진이 하루 2회 전화로 건강상태를 제대로 전달하고 재택 키트를 사용할 수 있을지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확진자 규모가 치솟는 상황에서 의료 대응 역량을 고려한 조치라지만 사실상 확진자를 방치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60대 이상 확진자가 늘어나 위중증 환자 증가로 이어질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8일 오전 서울 시청 인근에서 만난 독거노인 주원철(70·남) 씨는 정부의 재택치료 개편안에 대해 "하루에 3만명 이상씩 나오니깐 불안하지만 다른 방법이 있나. 스스로 조심해야지. 누가 내 몸을 챙겨주겠는가"라고 말했다. 불안하지만 딱히 방도가 없다는 게 주 씨의 얘기다. 

옆에 있던 또 다른 독거노인 김만호(71·남)씨도 안걸리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에 걸리면 알려준다고는 하지만 내가 뭘 안다고 (모니터링) 따라할 수 있겠나"라며 "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다. 안 걸리게 조심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10년째 혼자 산다는 박모씨(69·남)는 재택치료 개편안에 대해 묻자 "아파도 당장 할 수 있는 게 없을 것 같다. 안 걸리는 게 최선이지만 그게 맘대로 되겠나. 걸려도 그냥 참아야 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이미 한차례 왔다가 갔는지도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독거노인들은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모니터링 대상이지만 혼자 사는 만큼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는 소리다. 정부는 독거노인의 경우 보건당국에 약품배송 등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개편된 재택치료에 전문가들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을 위해 좀 더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정재훈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비대면 서비스가 젊은 세대에는 편리하겠지만 나이가 든 고령 세대일수록 어려울 수밖에 없다"라며 "방역에 구멍이 생길 수 있는 충분한 요소가 있는 만큼 좀 더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