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생활밀착형 지원 늘려야"

사진=뉴스1, 미리캔버스/디자인=안지호 기자
사진=뉴스1, 미리캔버스/디자인=안지호 기자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주거공간과 건강돌봄, 범죄로부터의 안전 등을 맞춤형 정책 도입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1인 가구 수는 664만3000가구로 집계됐다. 4년 전 2016년 539만8000가구 대비 23% 늘어난 수치다. 1인 가구 비율도 △2016년 27.9% △2017년 28.6% △2018년 29.3% △2019년 30.2% △2020년 31.7%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을 겨냥한 '도움 서비스 지원'도 한창이다. 여타 지역과는 달리 서울시는 늘어나는 1인 가구에 관한 대책 마련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4월 오세훈 시장의 1호 공약이었던 '1인 가구 특별대책추진단'을 출범시키면서 늘어나는 1인 가구에 관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 선언 한 바 있다. 

올해는  좀 더 촘촘한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서울시는 '1인 가구' 상담을 통해 필요한 생활·정책 정보를 제공하고 연계하는 자치구 1인 가구 지원센터를 올해 연말까지 총 24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기존 서울시는 시 전체 가구의 34.9%를 차지하는 1인 가구를 지원하기 위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22개 자치구에 '1인 가구 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해왔다. 하지만 현장에서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1인 가구 지원센터를 늘린다. 

지원 센터 건립은 곧 인력 보충의 의미기도 하다. 기존 35명에서 올해 60명까지 두 배 가까이 확대한다는 게 서울시 측 설명이다. 온·오프라인 전문 심리상담부터 1인 특화 프로그램 발굴·진행, 1인 가구별 맞춤형 정책 연계 등을 지원하는 인력이다.

주거 불안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도 이뤄진다.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을 2025년까지 4만8000호 공급할 예정이다. 청년 매입임대주택도 7200호 조성한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민간이 건설한 다가구·다세대 등을 매입해 월평균 소득 100% 이하 청년층에 시세의 30~50%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식이다.

청년 1인 가구에 최대 10개월간 20만원의 월세를 지원하는 청년 월세지원도 올해 4만6000명, 내년부터는 연간 5만명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오는 4월부터 중장년 1인 가구를 위한 고립과 고독에 대해서도 신경 쓴다.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 '행복한 밥상' 사업을 시작하여, 중·장년 1인 가구가 음식을 함께 만들고 나누면서 인간관계를 회복하고 고립과 고독에서 벗어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또한 1인 가구의 가장 큰 불편 중 하나인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서울시는 시간당 5,000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아플 때 병원 방문을 도와주는 '병원안심동행서비스'를 이어갈 방침이다. 

서울시의 이 같은 맞춤형 정책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늘어나는 1인 가구를 위해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생활밀착형' 지원을 더 늘려야 한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정재훈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는 "1인 가구가 꾸준히 늘면서 예전보다는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고 실제로 실행까지 되고 있지만 사각지대에 놓인 1인 가구를 위한 좀 더 세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전선영 용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어느 누구나 혼자서 살림을 책임지며 독립해서 살아가는 데에는 건강과 돌봄, 범죄로부터의 안심, 경제적 불안과 외로움, 쾌적한 주거 유지의 문제를 총체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인간은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조율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공간, 즉 공동체를 이루고 사는 것이 생존본능에 더 부합하고 혼자 살아가는 것보다 안정적이며 바람직하다고 했다. 혼자 살아도 함께 사는 것과 같은 삶의 공동체를 복원하고 느끼게 해주는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시기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