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원 이용자 만족도 89.1점 

1인 가구 생활 밀착형 건강돌봄 서비스./사진 = 서울시
1인 가구 생활 밀착형 건강돌봄 서비스./사진 = 서울시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급증하는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사회서비스원'에 대한 첫 평가 결과가 나왔다. 

1일 보건복지부는 전국 10개 시·도 사회서비스원을 대상으로 2021년 실적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 평균점수 86.54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지난 3월부터 시행된 '사회서비스 지원 및 사회서비스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음 실시됐다. 

사회서비스원은 2019년부터 설립되기 시작해 올 7월 기준 14개 시·도에 설립됐다. 이번 평가 대상은 설립 후 1년 이상 경과한 10개 사회서비스원이다. 

기관별로 보면 경기 사회서비스원이 S등급을 받았다. 서울, 대구, 인천, 광주, 경남 사회서비스원은 A등급이다. 대전, 세종, 강원 사회서비스원은 B등급, 충남 사회서비스원은 C등급이다. D등급은 없었다. 

평가 결과 '사회적 역할'을 반영한 경영전략 및 중장기 계획 수립 노력은 있었으나, 효과적인 재무관리 노력은 부족했다. 또 긴급돌봄 사업 추진 등 서비스 사각지대 지원이 드러났다. 지역사회 내에서 협업기관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나,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사진 = 경기도
사진 = 경기도

그럼에도 이용자 만족도는 높았다. 사회서비스원 이용자 만족도 조사의 평균점수는 89.1점으로 나타났다. 세종이 93.3점으로 가장 높았다. 충남, 서울, 강원도 각각 90.6점, 90.4점, 90.2점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가장 낮은 점수는 인천 86.1점이다. 

사회서비스원 평가를 높인 우수사례는 돌봄공백 적극 대응이다. 예를 들면 광주는 간호조무사, 간호사협회 등과 긴급돌봄지원단 인력풀을 구성했다. 경기는 노인, 정신장애인 등에게 야간, 주말, 휴일 돌봄 등을 시행했다. 경남은 인공지능 통합돌봄센터를 설치했다.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협력체계 구축도 좋은 평가를 이끌었다. 서울은 돌봄SOS 사업을 통해 전 자치구와 협업을 체결하고 공공전달체계 구축 및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했다. 경기는 남양주 내 사회적경제 등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해 돌봄, 의료, 복지가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렇나 성과를 기반으로 정부는 사회서비스원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사회서비스원은 내년까지 17개소로 확대 운영된다. 예산은 159억6000만원이 배정됐다. 

사회서비스원의 안착은 미래 복지체계인 지역사회통합돌봄 실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심각한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에 대비한 돌봄 서비스 지역사회통합돌봄을 추진 중이다. 돌봄이 필요한 주민이 살던 곳에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며 살아갈 수 있도록 지역주도형 사회서비스정책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정충현 복지부 사회서비스정책관은 "코로나19 기간 업무실적을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는 지역사회에서의 시·도 사회서비스원의 역할을 강화하고 향후 더 나은 방향으로 가기 위한 개선점을 발굴하는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지역 내에서 혁신적으로 복지·돌봄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내실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