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사망 사고가 잇따르면서 중앙 및 지자체에 필수의료 공백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다. 경실련이 금일 발표한 전국 시도별 응급의료 격차 실태를 보면 전남, 경북, 충남, 부산, 제주, 세종 등이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고령 1인 가구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의료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응급의료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경실련이 17개 광역시도 권역응급의료센터 실태를 조사한 결과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신경외과 전문의 수가 가장 적은 지역은 0명으로 세종시가 꼽혔다. 이어 부산(2.11명), 충남(3.29명), 충북(4.39명), 전남(4.41명), 경북(5.01명) 순이다. 

뇌졸중 환자에 24시간 대응할 수 있는 신경외과 설치율이 가장 낮은 지역도 세종(0%)이다. 경북·전남(17%), 충남(20%), 충북·부산(33%), 전북(40%), 강원·울산·인천·제주(50%) 등도 전국 평균(57%) 이하를 기록했다. 

심근경색환자 대응할 수 있는 흉부외과의 경우 전문의 수가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0명)이 차지했다. 부산(1.51명), 전북(2.83명), 충남(3.29명), 경북·전남(3.86명) 순으로 낮았다. 

흉부외과 설치율은 세종·전남·전북 모두 0%를 기록했다. 강원·경북(17%), 충남(20%)도 낮았다. 

결과적으로 중증응급의료 취약지는 경북, 전남, 충남이다. 이들 지역은 그야말로 응급의료 공백지역으로 실질적인 사망을 막기 위한 골드타임을 지키기 힘들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응급의료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 = 1코노미뉴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응급의료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 = 1코노미뉴스

문제는 이들 지역은 혼자 거주하는 고령 1인 가구 수가 많고, 앞으로도 많아질 전망이란 점이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경북 지역의 1인 가구 비중은 2021년 기준 36.0%다. 전남은 35.3%, 충남 35.8%다. 모두 1인 가구 비중이 전국 평균(33.4%)을 넘어선다. 

연령대별 1인 가구 구성도 경북은 70세 이상이 25.8%, 60~69세가 18.7%를 차지한다. 전남은 각각 32.4%, 18.6%, 충남은 21.1%, 16.3%다. 

인구수 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다 보니 이들 지역은 소멸위험지역도 많다. 경북과 전남은 각각 16개 지역이, 충남은 6개 지역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상태다. 

악순환의 연속 속에서 국민 누구나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할 응급의료 시스템에 공백은 켜져만 가고 있는 셈이다. 

이에 경실련은 금일 의료취약지 3개 지역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지정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권역별 공공의대 신설, 소규모 국립대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특수목적 의대 신설을 주장했다. 

정승준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는 "필수의료 전문의 확보를 위한 응급의료법 개정이 필요하다. 현행 응급의학과 전문의 5인 이상 확보만 의무화하고 있는 법을 개정해 응급의학과 신경외과, 흉부외과의 전담 전문의를 5인 이상 확보하는 것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기민 한양대 보건학과 교수는 "의대정원은 공공의대 신설을 전제로 최소 1000명을 증원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권역별 공공의대 신설에서 650명을 소규모 의대 입학정원의 증원을 통해 200명을 국군·보훈·경찰·소방병원 담당 특수목적 의대 신설을 통해 200명을 늘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1코노미뉴스 = 지현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