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지역 일자리 경쟁력 높여야"

청년층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청년층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1코노미뉴스, 미리캔버스

젊은 층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청년 1인 가구의 서울 러시가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최근 10년간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거주지를 옮긴 20대 청년이 6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3∼2022년 서울·경기·인천의 20대 순이동 인구는 59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순이동 인구는 지역의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수치로 10년년동안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 인구가 59만명을 넘었다.

이들의 특성을 보면 같은 기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전체 인구는 27만9000명으로 나타났다. 20대를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인구가 빠져나간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10년간 서울로 순유입된 20대 인구는 34만1000명이었다. 서울 순유입 20대는 10년 전인 2013년 2만1000명에서 2019년 4만8000명까지 늘었다가 2021년 3만6000명까지 줄었는데, 지난해엔 5만4000명으로 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의 경우 순유입된 20대는 1만5000명, 경기는 23만5000명이다.

비수도권에서는 경남에서 10년간 20대 10만5000명이 순유출되며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다. 경북(-9만명), 전남(-7만6000명), 전북(-7만6000명), 대구(-6만6000명), 부산(-5만5000명), 광주(-3만4000명) 등 순이었다.

수도권을 제외한 시도 중에는 세종(3만4000명)이 유일하게 순유입을 기록했다.

청년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취업·학업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간한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보고서를 보면 청년층의 지역 이동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인 고용률·경제성장률 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이후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임금·고용률·성장률 격차가 커지면서 청년의 비수도권 유출도 심화했다는 것이다.

문화 및 의료서비스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커진 점도 수도권 집중의 요인으로 짚었다. 대학 진학 등도 20대 이동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대학 졸업 후 취업에 실패한 청년층은 결국 경제적 빈곤으로 이어지기 쉽다. 청년 1인 가구라면 더 큰 타격이 예상된다.

결국 청년층의 지역 유출로 지방소멸위기 또한 우려되는 사항이다. 현재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따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총 89곳이다. 여기에 관심지역은 18곳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청년층이 지역에서 질 좋은 일자리와 교육 환경을 포함한 지역의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관계자는 "젊은 20~30대 청년인구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면 해당 지역의 인구 감소를 초래할 뿐 아니라 지역의 인구 고령화를 가속화 시켜 지역의 활력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면서 "청년인구를 중심으로 양질의 취업기회를 확대하고, 청년층의 니즈에 맞는 다양한 업무방식을 실현하여 '취농'에 국한되지 않는 종합적인 청년일자리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