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 수명은 증가하는 가운데, 은퇴시기는 빨라지고 1인 가구의 소득 조차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1인 가구의 노후에 적신호가 떴다.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기대 수명은 증가하는 가운데, 은퇴시기는 빨라지고 1인 가구의 소득 조차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1인 가구의 노후에 적신호가 떴다.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미리캔버스

1인 가구 노후 준비에 적신호가 떴다. 은퇴시기는 빨라지고 소득은 점차 줄고 있어서다. 여기에 고물가·고금리까지 겹치면서 살림이 팍팍해지고 있다.

27일 KB금융그룹의 'KB골든라이프보고서'에 따르면 20~79세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노후생활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20%에 그쳤다. 또 희망하는 은퇴나이는 평균 65세였으나 실제 은퇴나이는 55세로 10년이나 빨랐다. 노후를 위한 준비도 시작조차 못한 가구가 52.5%로 절반을 넘어섰다.

표=KB금융그룹
표=KB금융그룹

특히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대비 경제력, 사회활동, 건강, 여가 생활 등  모든 부문에서 노후 준비 점수가 가장 미흡했다. 1인 가구는 부부가구 대비 경제력(0.48점)과 사회활동(0.37점) 부분에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전체 가구 중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한 이유는 '소득 부족이(57.1%)'이 가장 컸다. 이어 '경제 불확실성·물가상승(48.2%)',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41.3%)'순이다.

은퇴시기 축소, 소득 감소 등은 1인 가구에게 치명타다. 특성상 혼자 생계를 이어가야하는데, 고물가·고금리 상황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고, 다인 가구 대비 가계 부담이 더 커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전체 가구가 예상하는 노후 적정생활비는 월 369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구 유형별로는 1인 가구는 299만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현재 가진 소득, 지출과 저축 등 경제적 여건을 고려할 때 1인 가구는 적정생활비의 절반에 해당하는 157만원(52.5%)이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 기대 수명 증가, 미혼·이혼 증가 등 1인 가구가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1인 가구 수는 2030년 825만가구, 2040년에는 무려 905만 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하지만 은퇴 후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어 비정규직 인원은 늘어나고 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이어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경제빈곤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는 고립·고독사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보면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812만2000명) 중 50대가 162만7000명에 달한다.

아울러 다인 가구는 소득이 늘어났지만 1인 가구는 오히려 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이들은 의류, 외식 등에서 지출을 줄였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올해 3분기 1인 가구의 소득(월평균 278만3000원)은 전년대비 2.4%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2인(6.9%), 3인(3.1%), 4인(10.6%) 가구 소득은 증가했다. 근로소득 역시 0.8%로 다인가구 각각 3.8%, 7.8%, 8.2% 증가 대비 가장 저조했다. 

소득이 줄어든 1인 가구는 생활에 필요하지 않은 소비부터 줄였다. 의류·신발이 7.9% 줄었다. 2020년 4분기(-19.0%)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전환이다. 또 외식비, 호텔 숙박료 등이 포함된 지출도 3분기 0.1% 감소했다.

반대로 식료품·비주류 음료 소비는 3.8% 증가했다. 2021년 4분기(3.9%)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는 고물가로 지출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전문가들은 노후에 안정적인 삶을 꾸리기 위한 재취업 교육, 새로운 일자리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장은 "중장년은 은퇴 후 재취업을 통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 쉽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브릿지형 일자리 지원 등 새로운 방향의 일자리 지원이 시급하다"며 "동시에 중장년 자조모임, 시범사업, 모범사례가 더 많아져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박민선 한국한아름복지회 이사장은 "중장년층이 은퇴 후에도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재취업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인생 2막을 설계하는 교육프로그램, 여가, 재무설계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장기적 일자리의 정책 홍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