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노인일자리의 질적 비중을 확대하고, 공급도 늘릴 계획이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안양 일자리센터 사진 캡쳐, 미리캔버스
정부가 내년 노인일자리의 질적 비중을 확대하고, 공급도 늘릴 계획이다. 자료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안양 일자리센터 사진 캡쳐, 미리캔버스

정부가 내년 노인일자리의 질을 높인다. 사회서비스형·민간형 비중을 올해 31.1%에서 내년 36.5%까지 확대한다. 또 일자리 117만7000명분을 공급하고 이중 97%를 상반기에 조기 집행한다.

15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제12차 일자리전담반(TF)'을 통해 내년 직접일자리 조기집행 등 추진계획안을 최근 내놨다. 이는 초고령사회 및 취약계층의 일자리와 소득 안정을 위한 조치방안이다.

주요 내용은 내년 1/4분기 내 연간 계획인원 117만7000명의 97% 이상 조기집행하도록 추진 계획을 마련했다. 정부는 또한 앞으로도 일자리 전담반(TF)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민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사업 이행도 점검할 것을 약속했다.

고령 인구가 급증하면서 일하기를 원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통계청의 '2023년 5월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국내 전체 고령층 규모는 1548만 1000명이다. 이 중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1060만2000(68.5%)명에 달하는 것으로나타났다.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0.2%로 전년동월대비 0.8%포인트 상승했다. 또 고령층 취업자는 912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4만9000명 증가했다.

은퇴한 베이비 부머 세대들이 본격적으로 노인층 연령층에 진입하면서 노인일자리 수요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다. 이들은 과거와 달리 비교적 건강하고,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다. 고령층이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이유는 '생활비 보탬'이 55.8%로 절반을 넘었다. 

동시에 노인빈곤율도 영향을 끼친다. 짧아진 은퇴 연령, 노후 준비 부족, 취약계층 독거노인 증가 등으로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가운데 노인빈곤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빈곤율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삶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정신건강과 직결돼 고독사, 자살 등 심각한 사회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혼자 사는 노인은 더 취약층에 해당한다.

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2'자료를 보면 한국은 일찍부터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사회보장제도가 발달하지 못했다. 이는 다인 가구 대비 독거노인에게 더 치명적이다. 이들은 가족의 부재로 경제적, 물질적, 정서적인 측면에서 지원받지 못해서다.

전체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독거노인 수는 2020년 161만7739가구(19.8%)에서 2021년 176만2969가구(20.6%), 2022년 187만5270가구(20.8%)로 급증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노인빈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일자리 지원 등 소득활동 참여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는 "건강한 노인의 경우 일을 통해 소득활동이 가능하도록 노인일자리가 우선 제공하고, 공공기관에 대한 노인일자리 할당제도를 통해 계속해서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만 55~64세도 노인빈곤 완화를 위한 주요 대상으로 보고 국민연금 개혁을 통해 노후소득보장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1코노미뉴스 = 안지호 기자]

저작권자 © 1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